한국선교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우수 논문 12편 모음집.
“디아스포라의 개념부터 주제별 통계로 확인하는 국내외 선교 현황과 선교방법론까지 한눈에”
“국내 체류 외국인 250만 명, 한인 디아스포라 750만 명 시대에 효과적인 다문화 목회 전략을 밝힌다”
유엔(UN)이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2020년 현재 전 세계 이주민 인구는 2억 8,200만 명이며, 2050년에는 4억 5,000만 명에 이를 것으...
『한국 교회 전도의 새로운 방향』은 한국선교신학회가 창립 30주년을 맞아 “전도”를 주제로 한 논문 15편을 선별하여 묶은 것이다. 초창기 한국 교회의 부흥과 이후 교회 성장에 이르기까지 복음 전도가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성과와 한계가 있었는지 그리고 시대 변화에 발맞춰 앞으로 전도 패러다임과 전략을 어떻게 발전시켜야 하는지를 매우 실제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성서에서 ...
신약성경을 기독교 선교의 관점에서 해석하면서, ‘기독교 선교의 핵심 동력은 하나님의 사랑, 즉 “missio Dei”이다’ 라는 주제로 엮어낸 책이다. 저자는 구약성경의 언약이 그리스도에게로 모아지는 하나의 이야기(메시아적 해석)는 그리스도로부터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나아가는 또 하나의 이야기(선교적 해석)와 필연적으로 연결된다고 본다. 신약성경의 저자와 수신자의 ‘삶의 자리’...
이 책은 20여 년간 대학에서 선교학을 가르친 저자가 동‧서양의 여러 가지 종교와 한국의 다양한 토속 종교들을 학문적 객관성을 가지고 정리, 서술한 비교종교학에 관한 개론서로, 2006년에 발행된 것을 개정해 낸 것이다. 개정판은 종교학에 관한 추가 설명 첨가, 각 종교 현황과 통계의 변화를 반영하였고, 선교 접촉점 및 대화 가능성을 구체화해 제시하였다. 이 책은 갈수록 심화되는 종교...
다원적 사회와 문화에서
기독교선교가 추구해야 할 방향과 가치에 답하다!
_에큐메니컬 선교의 개념부터 미래 과제까지 총망라
이 책은 세계 각국의 선교학자들이 세계교회협의회(WCC)가 추구하는 에큐메니컬 선교학이라는 개념의 발생 배경부터 에큐메니컬 선교학의 중심주제, 그리고 100여 년의 선교대회를 통해 완성된 에큐메니컬 선...
우리가 꿈꾸고 세워야 할 진정한 교회,
미셔널 처치를 말하다.
『미셔널 처치』는 오늘날 기독교의 위기 상황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에게 ‘교회’의 본래 가치와 의미를 돌아보게 함으로써 교회가 무엇인지를 새롭게 일깨워주는 책이다. 여기에는 선교적 교회론의 역사, 의미와 함께 실천에 이르기까지 미셔널 처치가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에 대한 다양한 통찰이 담겨 있다. 독자들은 ...
『함께 생명을 향하여』는 세계 곳곳의 기독교인들이 선교에 대해 새롭게 성찰할 수 있는 매우 훌륭한 교재입니다. 이 책은 당대 최초로 발표된 새로운 에큐메니컬 선교성명의 전문과 더불어 실천 지침 그리고 다양한 연구자료를 수록하고 있습니다.
기독교 삼위일체 신학에 깊이 뿌리를 내리고 있는 선교성명은 선교와 복음전도에 대한 이해에 진정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복음은 교회 울타리 너머로 흘러나가야 한다!
이사야서는 교회와 공적 삶의 관계가 어떤 것이어야 하는지 일러준다.(1,11-20) 야훼는 제물을 가지고 그를 찾아오는 이스라엘을 내치며 그들이 여는 모든 성회가 역겹다고 말한다. 야훼는 불의에 눈감거나 악을 편드는 자들의 예배를 예배로 인정할 수 없는 것이다. 그는 “성회와 아울러 악을 행하는 것”을 견디지 못하는 신이다. 그는 대신 이...
교회는 디아코니아 자체이다!
디아코니아 없는 교회는 교회가 아니다!
‘섬김’이라는 의미의 헬라어 ‘디아코니아’는 한국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 낯선 어휘는 아닐 것이다. 이 말은 설교나 교육에서 케리그마(선포) 및 코이노니아(교제)와 함께 교회의 기능을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고, 여러 방면에 걸친 교회의 봉사 책임의 근거를 제공한다. 디아코니아(본래 '식탁에서 시중드는 행위'...
하워드 A. 스나이더/조엘 스캔드렛 지음 | 권오훈/권지혜 옮김 | 신국판/반양장 | 416쪽 | 2015-10-30 | 18,000원
성경은 예수 그리스도의 성육신과 삶과 죽음과 부활에 근거하여 모든 피조물의 갱신―새 하늘과 새 땅―을 약속한다.
이 약속은 창조와 새 창조에 관한 성경적 가르침의 온전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한 교회의 실패로 말미암아 수세기 동안
도외시되거나 오해되었다. 성경은 하나님과 사람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 사람과 땅의 관계가 파괴되고 회복된
이야기를 한다. 이것은 완전한 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