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교육의 현장에서 직접 계획하고 실천해 온 교육 내용들을 모은 책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기독교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한 교육 이론들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교회학교 연간 교육 계획과 절기에 따른 특별 프로그램 등 실제 응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내용들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은 ‘문화’와 ‘영성’의 시대라고 하는 21세기를 맞아 한국문화와 영성의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적 기독교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저자는 문화와 영성의 주제를 하나로 묶어서 이해하려고 시도하고 있고, 특히 한국의 전통문화와 연관시켜서 기독교교육의 창조적 변형을 꾀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Ⅰ부에서는 한국문화와 기독교교육을, Ⅱ부에서는...
교회학교를 세우는 데 꼭 필요한 원리들과 이 원리를 교회학교 현장에 현실화할 수 있는 실제적인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기초가 탄탄한 건물을 지어야 지붕을 완성도 높게 올릴 수 있고, 건물의 미래와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는 건축 원리를 들어서, 교회학교 사역을 집짓는 일에 비유하고 있다. 교회학교도 튼튼한 기초와 구조물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건물의 기초와 기둥과 지붕...
어린이들이 가정에서 충분한 신앙교육을 받지 못하는 시대, 어린이들이 일상 속에서 기독교 이외의 여러 다른 종교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보고 듣는 시대, 어린이들의 삶에 대중매체가 엄청난 영향을 미치는 시대, 과연 이런 시대를 맞아 신앙교육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어떻게 해야 신앙교육이 좋은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을까?
현재 독일 기독교교육 분야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는 ...
정보화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 책은 기존 기독교교육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디지털 시대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전망을 모색하고 있다. 변화된 상황에 눈높이를 맞추는 기독교교육이야말로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바른 실천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기독교교육은 일차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그 목표로 삼고 있다. 하나님 나라의 지평에서 현실을 인식하고, 현실을 바꾸고, 변화된 현실을 다시 바꾸어나가는, 그리하여 현실과 하나님 나라가 일치될 때까지 진행되는 과정이다.
창세기의 창조기사를 포함한 성서 전반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은 인간이 자연 위에 군림하고 ...
각종 미디어가 넘쳐나는 시대에 살고 있는 어린이들의 눈은 매일이 호강스럽다. 21세기의 미디어에 익숙한 어린이들을 위해 교회는 더 발전된 매체를 활용하여 그들의 입맛을 사로잡는 설교를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먼저 각종 매체를 구매하는 것이 금전적으로 어렵다. 또한 어린이들의 구미에 맞추고자 점점 자극적인 매체를 사용하는 경우, 청중들이 메시...
교회·가정·학교·사회에서 신앙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교육적 목표와 방법을 제시한 책. 이 책은 첫 장의 제목처럼 우리를 ‘기독교교육 현장으로 초대’한다. 저자는 오늘날 기독교교육의 위기가 자리의 상실, 즉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교육의 현장에서 비롯되었다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