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은 개신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선교 120년의 역사, 전 인구의 21.6%를 차지하는 교세, 6만 6천 개의 교회, 12만 4천 명이 넘는 성직자 규모를 지닌 한국의 주요 종교 중 하나라고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신교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 이유를 교회교육과 관련하여 통찰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 같다. 매 주일 오전, 전국에 있는 개신교 교...
리처드 아스머, 프리드리히 슈바이처 엮음 지음 | 연세기독교교육학포럼 옮김 | 신국판 | 400쪽 | 2005-12-01 | 16,000원
신앙발달 이론은 기독교교육학은 물론 신학, 발달 심리학, 문화학 그리고 최근에는 공공정책 연구 분야에 이르기까지 그 논의의 영역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다. 『공적 신앙과 실천신학』은 이 같은 다양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신앙발달 이론을 처음으로 제기했을 뿐만 아니라 여전히 연구를 주도하고 있는 제임스 파울러에게 헌정된 15편의 논문들을 싣고 있다. 각각의 논문은 파울러가 제시한 ...
저자는 중요하고 개척자적 성격을 지닌 이 책에서 교수사역의 실천신학을 전개해 나간다. 그는 먼저 바울서신에 나타나는 핵심과제들을 탐구하면서 이 책을 시작한다. 다음으로 그는 교수사역에 대한 해석적 관점들을 개발시켜나가면서 미국, 한국, 남아공에 위치한 오늘의 세 회중들에 대한 사례연구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독자들에게 회중 교수사역으로 인도해 주는 유용한 방법...
이 책은 저자가 2002년 『문화·편견·교육』을 펴낸 이후 ‘어떻게 편견을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계속적인 고민 중 교육사상의 중심이 되는 인간학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쓴 글이다. 종교교육을 전공한 저자는 ‘기독교적 신앙교육이란 무엇이며, 일반교육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과정과 방법이 어떻게 서로 다르며 같은지’에 대한 문제의 근원을 인간학에서 찾고자 ...
교회학교를 세우는 데 꼭 필요한 원리들과 이 원리를 교회학교 현장에 현실화할 수 있는 실제적인 전략들을 소개하고 있다. 기초가 탄탄한 건물을 지어야 지붕을 완성도 높게 올릴 수 있고, 건물의 미래와 내구성을 보증할 수 있게 된다는 건축 원리를 들어서, 교회학교 사역을 집짓는 일에 비유하고 있다. 교회학교도 튼튼한 기초와 구조물을 세워야 한다는 것이다. 건물의 기초와 기둥과 지붕...
최근 한국교회 내에 ‘영성’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그러나 실제 영성훈련에 사용할 자료는 크게 부족한 상태. 이 책은 기본적으로 교회학교 아동부와 중등부의 영성훈련을 위해 집필됐다. 경우에 따라서는 청년, 장년의 영성훈련을 위한 교재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은 16세기 예수회의 창시자 로욜라의 성 이냐시오의 영성지도방법을 따르고 있는데 책에 소개하고 있는 52개의 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