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교육학
도서명   | 발행일   | 가격
  • 이숙종 지음 | 신국판 | 480쪽 | 2001-09-20 | 17,000원

    한국 역사의 지평에서 기독교교육이 새로운 미래 공동체를 위해 준비해야 할 가치들을 탐구한 책. 이 책은 특히 ‘사회’, ‘인간’, ‘신앙’, ‘교육’의 네 가지 주제를 통합적으로 살피며 논제를 풀어나가고 있다....

  • 손원영 지음 | 신국판 | 352쪽 | 2001-08-31 | 12,000원

    이 책은 프락시스의 개념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과정 이론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새로운 기독교교육 연구방법론을 제안하고 있다. 한국의 기독교교육이 바른 실천 교육으로 정립되는 일에 하나의 모형을 제시한 저술이다....

  • 강희천 지음 | 신국판양장 | 416쪽 | 1999-02-26 | 15,000원

    기독교교육학의 한 연구 방법인 ‘비판적 성찰’을 다룬 책이다. 저자는 ‘비판적 성찰’의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전의 기독교교육 형태가 재구될 필요성을 밝힌다.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과정을 창의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될 다양한 자료들이 실려 있다....

  • 품절

    리처드 라이처트 지음 | 박종석 옮김 | 신국판 | 148쪽 | 1997-02-10 | 4,000원

    기독교 교육의 계획과 교수를 위해 필요한 모든 방법과 기술, 자료들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도록 돕는 책. 쉽고 평이하게 쓰여 기독교 교육에 관심 있어 하는 목회자와 구역회, 부모들에게도 유익한 책이다. ...

  • 품절

    정웅섭 지음 | 신국판 | 256쪽 | 1996-11-30 | 6,000원

    시뮬레이션을 응용한 새로운 성서 공부 방법을 소개한 책. 시뮬레이션 성서 공부 방법이란 성서의 한 부분을 선택하고 그와 관련된 자료와 성구를 제시, 참여자들이 각각 역할을 분담해서 그 이야기를 재현해 내는 것이다. 이 방법은 역할극이나 연극과는 달리 정해진 대본 없이 상상력으로 성서의 상황을 재현함으로써 참여자들로 하여금 직접적으로 성서를 경험하고 탐구하도록 만든다. 책...

  • 품절

    전국신학대학협의회 지음 | 신국판 | 404쪽 | 1994-02-10 | 10,000원

    전국신학대학협의회 소속 교수들의 연구 논문집. ‘정의·평화·창조질서의 보전과 신학교육’, ‘신학교육에 있어서 종교학의 의미’, ‘신학교육에 있어서 신앙적 실천의 역할에 관한 연구’, ‘신학교육에 있어서 컴퓨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등 신학교육에 관한 5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

  • 품절

    은준관 지음 | 신국판 | 483쪽 | 1993-06-30 | 14,500원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내밀한 논리로 밝힌 책. ‘복음’을 근거로 ‘인간’과 ‘역사’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기독교교육의 기수들에게 학문적 근거가 되는 책이다. 기독교교육의 장과 구조에 관한 세밀한 분석과 자세한 설명이 실려 있다. 목회자와 신학생들의 필독서....

  • 품절

    46배판 | 154쪽 | 1988-12-20 | 6,000원

    주일학교 교사의 자질 향상과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기획된 교육 과정 시리즈 제3권. ‘교사들을 위한 교사’를 위한 최상급 교사 교육 과정이다. 교사를 지도하고 평가하는 방법, 교육 개발과 신앙 상담, 교육 예배 등을 다루고 있다....

  • 김재은 지음 | 46배판 | 266쪽 | 1988-10-01 | 10,000원

    주일학교 교사의 자질 향상과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기획된 교육 과정 시리즈 제2권. ‘교사들의 경험을 성찰하여 스스로 개발하는 교육 과정’을 다루고 있다. 교사 교육의 효과를 극대화시키고자 할 때 꼭 필요한 책이다....

  • 품절

    은준관 지음 | 신국판 | 454쪽 | 1988-01-20 | 13,000원

    교회·가정·학교·사회에서 신앙 공동체가 추구해야 할 교육적 목표와 방법을 제시한 책. 이 책은 첫 장의 제목처럼 우리를 ‘기독교교육 현장으로 초대’한다. 저자는 오늘날 기독교교육의 위기가 자리의 상실, 즉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교육의 현장에서 비롯되었다고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