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창조·질서·보전을 위한 그리스도인과 교회의 실천 과제를 탐구하고 있다. 저자는 오늘날 환경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개인의 가치관과 소비 생활 양식뿐 아니라 과학기술, 정치, 경제, 국제 관계를 포함하는 근본적이고도 총체적인 구조 변혁이 일어나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미국산 쇠고기 문제, 일본산 해산물 문제 등 국민 모두가 밥상 곧 건강의 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갖는 시점에 우리의 밥상에 올라오는 먹을거리를 신학적인 시각으로 분석해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다. 특히 성서에 나타난 다양한 밥상에 대하여 바른 성서적 이해와 함께 신학적인 의미를 찾아보는 것은 우리의 신앙과 삶에 더욱 의미 있는 일이 될 것이다.
이 책은 구약성서에 나...
모든 사람에게 인권을 보증하는 사회와 시스템을 만드는 것은 모든 사람이 이루어내야 하는 공동의 과제이자, 모든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으로 선언한 기독교의 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 역시 이 과제를 우선적으로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외국인 이주 노동자란 이유로, 양심적 병역거부를 했다는 이유로,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동성애자라는 이유로 또 여성이...
이 책은 기독교 사회윤리적 관점에서 우리 사회를 민주적이고 연대적인 공동체로 바꾸어 사회적 갈등을 최소화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어 내는 문제를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하였다. 제1부에서는 우선 기독교 사회윤리를 비롯한 사회윤리 일반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였다. 이어...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기독교의 위기를 이야기한다. 이러한 ‘기독교 위기설’을 뒷받침하듯 여러 곳에서 그 징후가 나타나고 있다. 교세는 점점 약해지고, 사회적 영향력도 축소되고…. 과학이나 스포츠 같은 대체종교의 발달 역시 기독교를 위협하는 요소다. 기적같은 성장을 이루었다는 한국 교회 역시 이러한 위기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성장은 멈추어 버렸으며 사회적 공신력도 잃어버렸...
이 책은 오늘날 제기되는 세계화의 제반 문제들과 그리스도교의 책임성, 한국의 신학적 현실, 한국 교회의 신뢰성 상실과 관련된 문제들을 그리스도교 사회윤리학의 관점에서 쓴 글들이다.
주로 그리스도교, 특히 개신교가 역사적으로 서구 자본주의와 더불어 어떻게 세계화를 추동해 왔으며 그 과정에서 공공성을 상실함으로써 어떻게 그 책임성을 망각하고 오늘날에 이르렀는지 분석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