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비록 작은 분량이지만, 세계 교회 예배 역사의 발전사를 균형 있게 서술하고 있다. 각 시대의 예배와 예전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집약해 주고 있어서 미래의 일치와 구조조정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18세기 찬송가가 태동하기 이전에 있었던 예배 음악의 자리나 그 발전을 짚어준 것도 다른 이의 예배사에서는 엿볼 수 없는 자료이다. 이 책 전체의 맡바닥에 깔린 빌리암 나...
신학교 강의실이나, 목회자 세미나 또는 교인들을 위한 예배 세미나에서 가장 빈번히 제기되는 질문은 현대 문화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와, 어떻게 예배를 갱신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질문을 가지고 있는 목회자와 신학생, 그리고 예배사역자, 나아가서는 예배를 통한 은혜를 구하는 모든 예배자들을 위한 것이다. 급변하는 현대 문화의 거센 파도와 물결을 두려워하거나 ...
많은 사람들이 예배를 드리지만 사실 예배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어떤 사람은 그저 막연하게 예배한 '말씀을 선포하고 듣는 것'이라고 말하고, 좀더 아는 사람은, 예배는 '신령과 진정으로', 즉 '정성껏' 드려야 한다고 말하는 정도다. 이런 현상을 볼 때 기독교 예배를 이해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종적으로는 2000년 예배의 역사를 알아야 하고, 횡적으로는 여러 교파의 예배를...
이 책은 전통적인 예배의 이론과 실제를 수용하면서 21세기를 사는 그리스도인에게 ‘의미’를 주는 예배가 무엇인가를 모색한다. 이 책의 장점은 예배의 신학, 예배의 초석, 예배의 감각, 예배의 역동성, 현대적 예배, 새로운 패러다임, 의미 있는 청소년 예배를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21세기 예배순서 설정을 위해 새롭고도 독창적인 패러다임을 제시해 주며, 현...
새로운 세기, 예배도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할까?
지금까지 대부분의 한국 교회는 설교 중심의 틀에 찬송과 기도가 곁들여진 간결한 예배를 드려왔다. 그러나 최근 일부 교회들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사회와 현대인들의 욕구 변화에 따라 기존의 예배 틀을 벗어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새로운 예배를 드리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에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열린 ...
이 책은 주일공동예배, 특히 절기예배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책이다. 예배에 대한 이해를 새로이 할 수 있는 이야기와 절기예배 설계 사례, 절기예배 때 부를 만한 우리가락 절기노래를 한데 모아 엮었다.
저자는 이 책을 교회력과 예배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활발히 일어나고, 참다운 예배, 특히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에 맞는 예배와 그 언어를 깊이 연구하는 풍토가 교회 신학교마다 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