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티누스에서 포스트모던에 이르는 신학의 흐름과 논쟁들을 종교개혁적 입장에서 정리한 연구서. ‘어거스틴과 포스트모던 신학자들의 만남’, ‘ 교회 일치의 전망’, ‘신학의 영성과 타자의 만남’, ‘종교 다원주의와 포스트모던주의 고찰’ 등 쉽지 않은 주제들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한국 근대의료선교와 특수교육의 선구자 로제타 홀, 일제 치하에서 핍박당하던 조선의 신앙인들, 그들은 어떤 찬송을 불렀을까? 믿음의 선조들이 부른 찬송은 삶의 이야기이고, 이 이야기가 모여 교회의 역사가 되었다. 이 책은 교회의 역사 속에서 사랑받은 찬송을 소개하여 당시를 살았던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의 자리로 독자를 초대한다....
청교도 신앙 운동의 의미와 유산을 분석한 연구서. 청교도 신앙 운동은 현대 서구 문명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고 범위는 개인의 신앙, 교회, 사회, 국가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무엇이 이러한 힘을 공급하였을까? 저자는 언약 사상의 관점에서 이 문제들을 풀어내고 있다....
기독교 역사상 가장 중요한 에큐메니컬 7대 공의회 완벽 분석!
이 책은 ‘초기 그리스도교 에큐메니컬 7대 공의회의 역사와 신학’에 대한 서술이다. 초기 7대 공의회란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381), 에페소 공의회(431), 칼케돈 공의회(431), 제2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553), 제3차 콘스탄티노플 공의회(680), 제2차 니케아 공의회(787)를 일컫는다. 현재 동방정교회는 7...
오늘날 우리는 우리 주변에서 한국교회가 완전히 토착화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다. 한편 신학자들 중에서는 한국적 신학, 토착화신학, 민중신학, 해방신학 등의 표현을 빌어 토착화신학에 대한 도전을 계속하고 있다. ‘토박이 신앙산맥 1권에 이어 나온 2권 역시 저자는 한국 신학의 토착화를 위해 한국 신학의 뿌리를 찾는 작업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2권에서는 북간도에서의 선교...
YWCA는 왜 존재하고 있는가?
한국YWCA가 걸어온 100년을 성찰하고 걸어가야 할 새로운 100년을 모색하다
♣ 요약
『한국YWCA 100년의 여정: 축제의 회복을 위하여』는 한국의 대표적 여성운동단체인 YWCA를 30년 조직의 내부자로서 경험한 유성희 사무총장이 지난 100년 동안 YWCA는 ‘무엇’을 했고, ‘왜’ 했는지를 성찰함과 동시에 앞으로 걸어가야 할 길을 모색한 책이다. 한국YWCA라는 조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