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하엘 벨커·미하엘 바인트커·알버트 드 랑에 지음 | 김재진 외 16인 옮김 | 신국변형 | 648쪽 | 2017-10-20 | 33,000원
루터와 칼뱅, 비텐베르크와 제네바를 넘어
전 유럽, 각 분야에서의 개혁과 갱신을 논하다핵심 요약
16세기 루터에 의해 촉발된 종교개혁이 유럽 전 전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이 책에는 유럽의 48개 도시에서 종교개혁을 주도한 신학자들의 신학과 이를 기점으로 해서 정치, 사회, 문화의 개혁을 주도한 일반 개혁자들의 사상이 핵심적으로 수록되어 있...
2017년은 종교개혁 500주년 기념의 해이다. 이는 마르틴 루터가 1517년 10월 31일 자신이 몸담고 있는 로마가톨릭교회의 폐해를 비판하는 95개 논제를 제기한 것을 기점으로 계산한 것이다. 루터가 제기한 이 비판은 많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었고, 결국 교회의 개혁을 요구하는 도도한 물결이 되었다. 16세기에 일어난 종교개혁으로 인해 개신교가 생겨났다. 그래서 개신교 신앙을 가진 교인이면 누...
한눈에 읽는 종교개혁 가이드
『교양 종교개혁 이야기』는 종교개혁의 ABC를 알려주는 책이다. 종교개혁의 원인과 경과, 그리고 결과를 비롯하여 종교개혁자들의 생애와 사상, 종교개혁 유적지를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다.
이 책은 전체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종교개혁의 역사적 의미”를 주제로 종교개혁의 참 의미,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종교개혁이 가져온 변화...
칼뱅의 작품 세계 탐험을 위한 필수 가이드북
칼뱅의 저작들에 대한 관심은 칼뱅이라는 인물에 대한 관심과 별개일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칼뱅의 저작들이 각각 보여주는 그의 인간상은 서로 극히 상충되어 연구자에게 혼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책은 칼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선입견에 매이거나 하나의 저작만을 그 준거로 할 것이 아니라 그가 얽혀 있는 역사적 맥락 안에서 그...
이 연구서는 사도행전 1-3장에 그려진 베드로의 활동을 탐구한다. 베드로는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활동과 발언이 묘사된 초기 기독교의 거의 유일한 지도자요, 예수 시대와 교회 시대에 걸쳐 두루 활동했던 초기 기독교 역사의 독보적 존재다. 예수 승천 이후 베드로의 활동은 사도행전 1-5장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그중 중요한 사건들은 처음 3장에 묘사되어 있다. 가룟 유다를 대신할 맛디...
토마스 카우프만은 최신의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 책을 집필하고, 기독교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이단자’ 루터의 생애와 그가 남긴 글로 독자들을 인도한다. 그는 루터의 개혁이 성공하기까지 빼놓을 수 없는 역사적인 요소들은 어떤 것이 있고, 외부로부터 어떠한 도움을 받았으며, 루터가 주도했던 개혁은 그 이전의 개혁들과 어떻게 다른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마르틴 루터는 오늘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종교개혁이 일어난 지 거의 500년이 되는 이 시점에 한스-마르틴 바르트는 종교개혁자 마르틴 루터의 신학에 대한 방대하고 비평적인 평가를 담은 책을 내놓았다. 이 책은 2017년 종교개혁 500주년을 향한 길목에 기념비적인 작품이 될 것이다.
“루터를 다룬 대부분의 저술을 살펴보면 종교개혁을 하나의 위대한 신학적인 논쟁으로, 진리를 둘...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시리즈 제3-1권 <레위기>
구약성서 자체를 경원시하는 한국교회 풍토에서 레위기는 특히 친숙해지기 쉽지 않은
그 외피 때문에 외면당하기 일쑤다. 이는 일반 교우에게만 해당하는 문제가 아닐 것이다.
신학생도 목회자도 레위기 이해의 어려움을 토로한다. 일부는 레위기가 제의 규정들로
채워져 있다 하여 그리스도 이전 시대의 유물 정도로 ...
더글라스 A. 포스터 외 지음 | 정남수 외 옮김 | 46배판 변형 | 1024쪽 | 2015-04-30 | 60,000원
『그리스도의 교회들 운동 대사전』은 무려 10년 동안 스톤-캠벨 운동의 세 줄기에 속한 300여 명의 저자들이 700여 개의 주제를 선정하여 환원운동사에 깃든 사도적 전승을 통한 하나님의 역사(役事)를 기록한 책이다. 역사(歷史)가 그 공동체의 정신이란 점에서 성서는 하나님의 말씀(진의)이 담긴 기독교의 얼이다. 구약은 물론, 신약성서는 예수의 인격과 사역에 초점을 둔 하나님의 구원 역사...
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는가? 왜 그리스도인인가?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존재하고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마르틴 루터는 핵심적으로 믿음과 사랑이라는 한 쌍의 신학적 주제를 통해서 이 문제들을 풀어낸다.
저자는 이 한 쌍으로서의 믿음과 사랑이라는 신학적 주제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그 진가가 기존 루터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