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공공신학의 중요한 주제들과 함께 공공신학 이론들을 구체적이고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룬다. 저자는 공공신학이 교회가 고민하는 사회와 교회의 분리화 현상, 즉 양극화 문제를 극복하고 공공 영역에서 교회의 기여와 사명을 감당하기 위한 노력과 시도에 기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복음을 아는 데에 그치지 않고, 일상에서 살아내고자 하는 모든 신앙...
신학과 교회는 언제나 긴장 관계 가운데 존속해왔다. 오늘날은 그 긴장 관계가 더욱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책은 신학과 교회, 그 둘 사이에 있는 괴리감을 좁히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됐다. 저자는 현대신학적 틀을 바탕으로 오늘의 교회를 철저히 들여다보며 앞으로 교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교회가 세속적인 영광과 호사를 누리고, 세속적인 명예와 훈장을 수여하는 것이 옳은 일이 될 수 있는가? 교회가 필요 이상의 재물을 축적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가? 교회가 세속의 권력과 결탁해 그 어떤 세속적 단체나 정당, 문화 단체나 사회 경제적 권력 집단으로 전락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한스 큉의 지적과 같이 교회의 형태는 변화할 수 있으나 교회의 본질은 변할 수 없다. 오...
이 책에서 말하는 ‘교회’는 성전이 아니라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모인 하나님의 백성들, 나아가서 그 교회가 흩어져 사회의 빛과 생명이 되는 것을 말한다. 이 책의 전반부는 초기 교회, 교회의 본질, 교회 개혁 등을 다루며 후반부는 교회의 사회성과 교회 일치, 영성과 목회 등을 다룬다....
지난 100년 동안 한국교회의 기적이 교회의 급속한 선교와 성장에 있었다면 앞으로 일어날 기적은 복음의 진리를 전세계로 확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적을 만들기 위해서는 한국교회 자체의 근본적인 혁신이 선행되어야 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한국교회의 교회 헌법과 제도를 전면적으로 검토함으로 교회개혁의 실마리를 제공했다....
예수를 믿어 구원을 받는다는 것은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그러나 구
약성서뿐만 아니라 신약성서에 나타나는 구원에 대한 표상은 아주 다양하
다. 죄와 구원을 나타내는 히브리어와 헬라어도 여러 단어의 다양한 개념으
로 전승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만큼 죄와 구원에 대한 이해가 포괄적이
며 통전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독교 신학에 있어서 구원론은 기독
론에 정초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