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2권 출애굽기
이 책은 구약성서의 둘째 권 출애굽기의 주석서이다. 이 책의 특징은 여러 판본의 한국어 번역 출애굽기를 히브리어 본문 및 중국어 번역『문리 대표본』(신약 1852, 구약 1854),『쉐레쉐브스키』(1902) 등과 대조함으로써 번역의 특징을 살피고 그 유래를 밝힌다는 데 있다. 이러한 주석 작업은 책 전반에 걸쳐 반복되므로 독...
이 책은 구약학자인 이환진 교수의 스승, 바룩 레빈 교수의 JPS 토라 주석 『레위기』를 바탕으로 쓰였다. 레빈 교수는 뉴욕대학교(NYU)에서 히브리 성서와 우가릿어 문학 그리고 북서방 셈어 문헌을 가르친 히브리어 실력자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레빈 교수의 학문적 성과를 우리말로 풀어내도록 노력하며 특히 각 히브리어의 뜻이 어떤 영역으로 확대되고 또 번역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
이 책은 시편 90편에서 150편까지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이 설교준비에 도움이 될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목회현장에 유익한 글이 되도록 했다고 밝힌다. 이 책은 시편 각각의 시들이 어떤 신앙적 메시지를 가지고 있으며 교회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것인가를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제 4권과 5권에 속해 있는 시들이 어떤 이유로 현재 위치에 놓이게 되었는지 편집상의 의도를 살핀...
이 책은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주석으로, 시편 61편에서 89편까지를 다루고 있다. 저자는 개역한글판에 실려 있는 시편 본문의 아름다움을 살펴보고자 노력하였으며, 저자의 번역서 『시편 풀님』에서 뽑은 내용을 일부 수정하여 ‘새롭게 읽는 시편’이라고 이름 붙여 책의 마지막 부분에 수록하였다. 이 책은 개역한글판을 맨 앞에 싣고, 그 번역을 좀 더 쉬운 말인 이야기체로 읽...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시리즈 제24권.
에스겔서는 성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많은 사람에게 흥미를 끄는 특별한 책이다. 그러나 설명을 필요로 하는 책이기도 하다. 알고 싶고 가까이하고 싶으나 범접하기 쉽지 않은 책이다. 에스겔의 신비스러운 삶과 영적 체험 때문이고, 성서 내용 자체의 난해함 때문이기도 하다. 더욱이 이러한 내용들에 대한 해석 또한 너무 다양하...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기념 성서주석 시리즈 제13권. 이 책은 솔로몬 왕의 통치, 왕국이 남왕국과 북왕국으로 나뉜 때부터 바빌론 포로기 끝 무렵을 서술하는 역대하를 다룬다. 역대기에 관한 개론적 사항은 이미 상권에서 다뤘기 때문에, 하권에서는 역대하의 구성과 이 주석서를 위해 택한 방법론을 언급하는 것으로 개론을 대신했다.
권위 있는 학자인 루돌프(W. Rudolph, Chronikbücher, 1955)...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20권.
일제 강점기 때 우리 민족이 집단적으로 허무주의에 빠질 수 있을 상황에서 그 허무주의를 하나님 경외로 승화시켜 준 경전인 전도서는 일찍부터 우리 민족에서 사랑받은 책 중 하나였다. 저자는 전도서 주석을 집필하면서 1930년대 한국 기독교인들이 애송하던 "희망가"(希望歌)를 부록에 수록하며 허무주의가 지닌 종교적 기능을 ...
대한기독교서회100주년기념 성서주석 제8권으로 주요 구절에 대한 본문, 사본이나 역본 비교 등을 위주로 번역에 주력한 주석이다. 사무엘, 사울, 다윗, 세 사람의 이야기인 사무엘상은 다윗이 합법적으로 정당하게 왕권승계를 이루었음을 변증하는 데 초점이 있다. 다윗을 통해 이스라엘 왕국 형성의 기초를 놓은 이야기가 담겨 있다....
문서예언서에 포함되는 요나서는 ‘예언 자체’보다는 ‘예언자’에 관한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직접 가서 말씀을 선포하라는 명령 자체가 책의 내용 전개에 있어서 큰 중요성을 갖는다. 요나서의 특징은 하나님의 역사에 대한 예언자의 편견과 하나님을 거역하는 그의 죄가 언급되며 예언자 자신이 받게 된 징벌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는 점이다. 고유한 구성과 내용적 특징을 가지고...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시리즈 제26권의 개정판. 저자의 호세아/요엘서에 대한 독자적인 이해와 해석이 돋보인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히브리어 본문을 직역, 본래의 뜻을 오늘의 그리스도인들에게 좀더 쉽게 전달하려 애쓰고 있다. 또 동시대 예언자들의 사상과 제의 영역에 대한 비판 등 예언 일반에 대한 내용들도 심도 깊게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