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의 말씀들 중 산상설교를 집중 분석한 주석서. 단순한 본문의 자구 해석을 넘어 산상설교의 기원, 역사적 배경을 논하고 공시적 접근 방법만이 아닌, 통시적인 접근 방법으로 산상설교를 해석하고 있다. 1990년에 나온 『산상보훈』에서 산상보훈 해석사, 팔복에 대한 이해, 산상보훈에서의 주기도문의 중요성 등의 내용을 보충하여 개정한 책이다....
갈라디아서, 데살로니가전후서, 디모데전후서, 디도서는 서로 연결성 없는 서신들이다. 그러나 이들은 바울의 최초 서신과 최후 서신이란 점에서 연결성 있는 서신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 두 문서군들 가운데서 그리스도교의 초기 형태와 발전된 형태, 묵시적 그리스도교와 제도화된 그리스도교의 대조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갈라디아서 주석은 바울의 복음의 변증이...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7권.
사사기 주석은 전통적 성경관에 기초하여 현재 주어진 본문과 기사의 배열을 저자의 기록과 의도로 보았다. 저자는 마소라 본문에 기초하여 주로 용어들과 어구들, 어순과 배열, 병치 혹은 대칭구도, 단락 내의 위치와 기능 등을 살핌으로 저자의 의도와 의미를 찾으려 하였으며 이런 의미가 오늘의 삶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어떤...
고린도전서는 바울의 많은 편지들 중 고린도 교회와 바울 간에 선교적, 서신적, 신학적 상호 교신 혹은 상호 왕래에 의해 이루어진 서신이다. 그것은 바울의 고린도 선교와 예루살렘 총회 훈령, 고린도전전서, 교린도 교회의 편지 등 다양한 정보 왕래와 상황 변화에 의해 생겨난 서신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해서 쓰인 주석이 거의 없었다. 이 고린도전후서 주석은 바로 이...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17권. 이 주석서는 지금까지 논의되고 사용되어 온 비평학적 방법들에 의한 본문 안내와 주석 및 주해를 통해 그 본문이 갖고 있는 바 교회 현장에 요청되는 신학적, 케리그마적 메시지를 발굴해 내는 데 주력했다. 저자는 이 주석서가 차일즈의 『출애굽기 주석』과 거기에 나타난 그의 성서해석 방법론에 영향을 받았으며, 올브라이트와 ...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 주석 시리즈 제30권. 그동안 한국교회에서는 학개, 스가랴, 말라기를 등한시 해왔다. 설령 본문들에 관한 설교가 이루어진다 해도, 설교 내용이 단 몇 가지 주제에 집중되었을 뿐이다. 이 주석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주로 목회자의 설교에 도움이 되도록 집필되었다....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제 21권. 예수님을 비롯하여 신약의 사도들이 가장 많이 인용한 구약성서 중 하나가 이사야서이다. 이사야서는 가혹한 심판 예언에 의하여 쓰러지고 부서지는 하나님의 백성을 소생시키고 하나님이 열어주실 새로운 미래에 대한 믿을 갖도록 격려하는 복음서이다. 이 주석서는 이사야 1-39장까지를 역사적으로, 문법적·문자적으로, 신학적으로 철저...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제23-1권. 예레미야서는 주석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어려운 책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 주석에서는 예레미야의 형성 과정을 두고 학자들이 내놓고 있는 복잡한 연구 결과는 꼭 필요한 경우만 참고하고 개역한글판 예레미야서 번역문을 오늘의 독자들이 읽으면서 그 중심 내용을 스스로 이해하는데 필요한 바를 해설하는 데 주력했다....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 성서주석 제9권. 사무엘하는 신구약을 통틀어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약성서가 구약성서의 다윗이라는 인격과 신앙을 바탕으로 혹은 전제로 하면서 예수의 메시지와 비유를 선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주석서는 특히 유대신앙의 뿌리인 탈무드적인 관점, 그리고 신약과의 연결된 관점 그리고 최근에 지대한 영향력을 발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