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예수에 관해 무엇을 알고 있는가? 우리는 복음서를 통해 역사적 예수를 발견할 수 있는가? 저자는 이러한 질문에 복음서가 역사적 자료로 읽혀져서는 안 되지만 예수의 상을 한 역사적 형태로 그리고 있다고 말한다. 복음서의 기록을 통해 밝혀지는 역사적 예수의 모습을 새롭게 다가오는 책이다. 한편 책에는 바울에 대한 다섯 편의 연구 논문도 수록돼 있다....
성서는 교리나 법률을 집성한 책이 아니다. 성서를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문적인 해명이 필요하다. 이 책은 이러한 학문적 해명을 시도하고 있다. 책의 1부에서는 예수의 어록과 지혜, 법, 신앙, 성령, 은혜, 질서, 신국과 윤리, 비유, 현실, 교육, 여성, 생명 등 성서 안의 중요한 개념들에 관한 연구가 실려 있으며 2부에서는 성서해석에 도움이 될 만한 성서연구 4편이 실려 있다....
로마서 7장 14-15절은 바울서신 중에서 가장 난해한 부분에 속한다. 여기서 육신의 연약함과 갈등을 토로하는 바울의 모습은 우리가 알고 있는 바울의 모습과는 뚜렷한 대조를 보여준다. 이러한 모습은 바울이 회심하기 전의 갈등인가? 회심한 뒤의 갈등인가? 이에 대한 해석은 기독교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됐지만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고 있다. 이 책은 각 시대별로 이 문제의 해석사를 살펴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