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디자이너는 현재에 만족하지 못하여 세상을 바꾸고자, 될 법한 세상의 모습을 그려보는 자이다. 일말의 가능성을 포착하여 그것을 시각화하고 현실이 되도록 만드는 사람이다. 이런 정의대로라면, 바울도 일종의 디자이너라 할 수 있다. 그는 비록 타의에 의해서였지만, ‘새로운 믿음의 세계’라는 비전을 가지게 되었고, 이를 구체화하고 실현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그 결과 곳...
이 책은 연세대학교 신약학 교수 유상현 박사가 출간한 『바울의 제1차 선교여행』(2002), 『바울의 제2차 선교여행』(2008)에 이어지는 ‘바울의 제3차 선교여행’(행 18:23-21:16)에 관한 연구서다.
‘제3차 선교여행’ 속의 바울은, 앞서의 여행에서와 마찬가지로 끝없는 여로 위를 걸으며, 변함없는 여행자요 선교적 유목민(遊牧民)으로 길 위에 서 있다. 이 여행 중 바울이 걸었던 공간적 범위...
김고광 목사의 『살아 있는 로마서』2권.
로마서는 오늘도 살아서 우리에게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말씀이다. 이 살아 있는 ‘말씀’을 오늘날을 사는 사람들로 하여금 들을 수 있게 하려는 것이 저자의 목적이다. 오늘날은 ‘말씀’의 사건이 절실히 필요한 때이다. 그 말씀 앞에서 우리는 ‘예’와 ‘아니오’라는 두 가지 응답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야 한다. 그래서 이 책은 우리...
이 책은 신약박사 조태연 교수가 2010년에 「기독교사상」과 「성서마당」에 연재한 글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마가 문학 안에 예수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여러 굵직한 특징적 현상들을 포착하여 서사적으로 연구하였다.
마가복음은 지리와 지형, 계절과 시간, 빛의 양과 방향, 바람이나 파도 같은 것들의 동성과 시각적 효과, 사람들마다 지닌 살아온 이력과 순간의 감정, 각...
신약성서에서 요한복음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진했다. 역사적 예수의 문제 등이 주로 공관복음서 중심으로 논의되었기 때문에, 18세기 이후까지 요한복음보다는 공관복음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불트만, 케제만, 슐츠 등 학자들에 의해 요한복음 연구가 활발해졌다. 요한복음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학자...
‘개발’이라는 명목 아래 헐벗은 지구는 지금 매우 아프다. 무분별한 생태계 파괴로 인한 온난화, 오존층 파괴, 공기·수질 오염 등이 가속화되고 있고, 생명체들 또한 멸종해가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두드러진 21세기 지구촌의 현주소는 생명경시, 생명조작, 생명파괴 등 여러 가지 병폐로 얼룩져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책은 신학적인 생명의 본질 문제뿐만 아니라 포괄적으로 인간...
예수는 실제로 무슨 말씀을 하셨을까? 큐(Q)복음이 전해주는 예수의 말씀들은 다른 복음서나 바울 서신에 비해서 그분의 숨결과 체온을 느낄 수 있고, 역사의 예수에 가장 근접해 있다.
오늘날 우리가 기독교의 뿌리와 복음의 본모습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그동안 백안시되어 왔던 초기기독교 복음의 다양한 이해 방식들에 대하여 열려진 시각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들에게 흔히 정통주의...
이 책의 목적은 신학적 사고에서 해석학적인 고찰의 필요에 대한 의식에 항상 깨어 있게 하는 것 내지는 그러한 의식 자체를 깨우는 데 있다고 저자는 밝히고 있다. 저자는 교회에서의 사역 중에 혹은 교회에서 이루어지는 대화, 그리고 무엇보다 설교에서 주석 작업이 실재적으로 나타난다고 본다. 여기서 청중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저자는 “해석학적...
제임스 M. 로빈슨 지음 | 소기천·송일 옮김 | 신국판 | 288쪽 | 2009-08-20 | 13,500원
이 책은 예수에 대한 초기 자료의 대가인 로빈슨 교수가 변질되지 않은 초기 문서들을 제공함으로써, 예수의 참된 역사적 메시지에 도달하고 있다. 이 책은 가장 오래되고, 가장 권위 있는 사료들을 종합하여 예수의 실제 메시지를 공개하고, 예수께서 오늘날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조명하고 있다. 우리들에게 익숙한 네 복음서 이전에 예수의 처음 제자들이 예수께로부터 직접 들...
지금까지 국내 학계에서 복음서의 비유들은 주로 역사 비평적 방법이나 문학적 전망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책은 복음서의 다양한 비유 이야기들을 1세기 그레코-로만 사회와 팔레스타인의 사회적 맥락 속에 위치시킨 채,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역사비평이비유의 문학적 단위와 장르 그리고 역사적 삶의 자리를 주로 통시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 왔다면, 이 책은 비유 이야기들을 당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