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신약연구의 핵심뿐만 아니라, 신약신학 연구 주제들과 입장들의 넓이, 신약문서들의 다양성, 신약성서 형성의 복잡한 역사를 폭넓고 명료하게 정리하여 파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 1권에서는 역사적이고 주제적인 부분을 병렬시켜 “초기 기독교의 신학역사”로서 “신약성서의 다양성”을 기술하였고, 2권에서는 주제적 서술로 역사적 서술을 통합시킴으로 “신학성서의 통일성”을 기술한다.
저자_ 페르디난트 한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났다. 그는 신학수업을 마친 후, 1954-56년에 먼저 목사로서 교회를 섬기는 경험을 갖는다. 그의 신학 여정은 1956-62년에 하이델베르크에서 귄터 보른캄의 연구 조교로 일을 하면서 시작한다. 저자는 1961년에 보른캄의 지도하에 전 세계의 신학계의 주목을 받은 '기독론적 호칭: 초기 기독교에서 그 역사'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이어 1963년에 선교신학 분야의 필독서인 '신약성서의 선교이해'라는 논문으로 교수자격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4-68년 독일 킬 대학 신학부의 정교수로 재직한 이후, 1976-94년 뮌헨 대학에서 은퇴하기까지, 저자는 후학을 지도하면서 역량 있는 신학적 과업을 수행하였다. 은퇴 이후에도 저자는 수년 동안 교수자격 논문을 작성하는 학생들을 지도하였고, 지금까지 강의와 저술 등의 활발한 학문 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역자_ 김문경·김희영
김문경_한국외국어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 및 대학원을 졸업한 후,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신학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희영_고려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 및 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장로회신학대학교 박사과정에서 공부했다.
제2판 서문 / 제1판 서문 / 한국어판 저자 서문 / 독일어판 저자 서문 / 신약성서신학Ⅰ, Ⅱ 전체의 개관
1장 과제의 제시
1부 초기 기독교의 성서로서 구약성서
2장 성서와 경전으로서 구약성서 / 3장 초기의 하나님 행위의 증거로서 구약성서 / 4장 도래하는 하나님 행위의 증거로서 구약성서 / 5장 구약성서의 기독교적 해석
2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계시 행위
6장 스스로 계시하시는 하나님 / 7장 하나님 통치의 실현 / 8장 하나님의 계시자로서 예수 그리스도 / 9장 성령의 사역 / 10장 신약성서 증거 안에 내재된 삼위일체 구조
3부 하나님의 계시 행위의 구원론적 영역
11장 피조물이며 죄인으로서 인간 / 12장 율법 관계 / 13장 발생한 인간 구원 / 14장 구원의 선포 및 현재화로서 복음
4부 하나님의 계시 행위의 교회론적 영역
15장 제자도와 믿음 / 16장 제자들의 자기 이해 / 17장 기독교 세례 / 18장 주의 만찬 / 19장 기도, 신앙고백, 예배 / 20장 은사와 공동체 지도 / 21장 유대인들과 이방인들을 향한 복음의 선포 / 22장 기독교 생활을 위한 기초(윤리Ⅰ) / 23장 책임을 지는 기독교인의 생활(윤리Ⅱ)
5부 하나님의 계시 행위의 종말론적 영역
24장 계속되는 구원과 세상에서의 위협 / 25장 구원의 미래적 완성 / 26장 신약성서 통일성 고찰에 대한 회고적 전망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