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블룸하르트가 증언한 하나님 나라

19세기 독일의 산업화, 민족주의, 제국주의

저자 임희국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20-09-20
규격 신국판(양장) | 304쪽
ISBN 978-89-511-2001-5 93230
정가 16,000원
판매가 14,4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품절

품절된 도서입니다.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크리스토프 블룸하르트(1842–1919, 요한 블룸하르트의 아들)는 독일의 루터교 목사, 신학자, 사회주의자, 그리고 정치가로서 생애 발자취를 남겼다. 그는 이론 신학에 매몰되지 않고 평생 땅에 임하는 하나님 나라를 증언하는 삶을 살았다. 이 책은 25년 넘게 19세기와 20세기 독일어권 신학사상사 및 개혁교회 신학을 소개하고 가르쳐온 저자가 쉼 없이 하나님 나라를 추구한 블룸하르트의 생애와 신학사상을 새롭게 조명한 책이다. 그는 하나님의 사랑이 온 세상에 화해를 선포하며, 모든 고통을 없애고, 사회 경제적인 문제를 모두 해결하신다고 믿었기에 하나님 나라가 이 땅에 임하기를 간절히 바랐고, 또 그렇게 되기 위해 평생을 하나님 나라를 증언하는 삶을 살았다. 블룸하르트의 삶과 신학을 밝히는 이 책은 오늘날 변혁의 시대에 땅에 임하는 하나님 나라를 증언해야 할 한국의 목회자와 평신도에게 확실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임희국 (林熙國)
임희국은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대학에서 블룸하르트(아들) 연구로 1994년 박사학위(Dr.theol)를 받았다. 그는 1995년부터 2019년까지 영남신학대학교와 장로회신학대학교에서 교회사 분야 교수로 일했다. 한국교회 역사현장(영남 지역)을 답사하며 연구를 진행한 그는 미시사(micro history)와 구술사(oral history) 연구방법을 개척했다. 이 연구는 전 세계 그리스도교에서 한국 장로교회의 정체성과 특성을 찾는 작업이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승리자의 역사, 거대담론의 역사, 서양 중심, 남성 중심, 엘리트 중심, 기득권층 중심으로 전해오는 역사서술을 비판적으로 검토했고 이와 함께 역사연구의 다양한 관점과 다양한 연구방법을 존중했다. 이것은 일반 역사학계의 최근 연구담론과 소통하는 작업이었다. 이러한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역사현장에서 진행된 연구는 블룸하르트 연구의 후속작업 25년이었다.
미시사와 구술사 관련 연구 결과물로는 『여교역자로 살다: 여성 교역자 12인의 삶과 목회이야기』, 『여교역자 입을 열다: 여성 교역자 11인의 삶과 목회이야기』, 『강원도 장로교회 강원동노회 60년: 생명의 땅 새 창조를 향하여』, 『평양노회 100년사: 떠나온 평양 다가온 평화통일』(공저), 『선비목사 이원영』(수정증보판), 『하늘의 뜻 땅에 심는 성내교회(풍기) 100년』, 『김수만 장로, 절면서 열 교회를 세우다』, 『이원영 목사 유고설교』 외에 다수의 단행본이 있다.

주요 저서로는 『공감, 교회역사 공부: 아래로부터의 역사인식, 미시사, 지역교회사』, 『한국장로교회 130년: 기다림과 서두름의 역사』, Legacy and Portrait of Early Church History in Korea: Scholar Minister Yi Won-Young과, “Jesus ist Sieger!” bei Chr. Fr. Blumhardt: Keim einer kosmischen Christologie 등이 있다.




제1장 19세기 독일 사회의 변동, 교회와 신학사상
1. 사회의 변동
1) 초반: 보수회귀
2) 중반: 산업화와 세속화
3) 후반: 민족주의와 제국주의
2. 교회와 신학사상
1) 초반: 슐라이어마허와 헤겔
2) 중반: 쉘링, 톨룩, 로테, 키르케고르, 마르크스 등
3) 후반: 자유주의, 리츨, 하르낙 등
■ 참고문헌

제2장 하나님 나라의 증인 블룸하르트
1. 아버지의 유산
1) 뫼틀링엔의 선한 싸움
2) 신앙각성운동
2. 탄생과 성장(1842–72)
1) 아버지의 영향
2) 아버지의 자녀 양육, 바트볼로 이주
3) 튀빙엔대학교 신학대학의 신학수업
4) 위기
5) 새로운 탄생(1872)
3. 아버지의 유산 계승(1880–88)
1) 아버지의 별세, 바트볼교회의 담임과 요양원 원장 취임
2) 기다림과 서두름 속에서
3) 아버지를 넘어서는 새로운 길
4) 적은 무리–하나님 나라의 증인
4. 부활의 시기(1888–96)
1) 죽음에 대한 인식
2) 죽어 있는 그리스도교의 극복
3) 시온 백성
5. 성육신의 시기(1896–1906)
1) 성육신 인식: “말씀이 육신이 되어”(요 1:14)
2) 성육신 인식에 근거한 신학사상 지평의 확장
3) 기도드리는 과부
4) 사회민주당에 가까이 다가감
5) 정치집회에 참석, 세 번의 대중연설
6) 사회민주당에 가입
7) 목사직 박탈
8) 뷔르템베르크 지방의회의 의원으로 당선, 의정활동
6. 종말론의 시기(1906–19)
1) 6년의 의정활동 회고
2) 신학사상의 변화
3) 제1차 세계대전
4) 블룸하르트의 별세
■ 참고문헌

제3장 하나님 나라 현장의 신학
1. 기도치유와 하나님의 타자성
1) 기도치유에 대한 블룸하르트의 정리
2) 기도치유에 대한 칼 바르트의 신학적 평가
3) 기도치유는 종말론적 하나님 나라의 사건(몰트만)
2. 성경의 부활, 하나님 나라의 성경
1) 성경 안에서 성경을 통해 말씀하시는 하나님
2) 성경보다 큰 하나님의 말씀
3) 19세기 독일 루터교의 성경관 논쟁
4) 블룸하르트의 영향을 입은 라가츠의 성경관
3. 하나님 나라의 윤리
1) 예수 따르기, 예수 닮기, 예수 살기
2) 하나님의 혁명
3) 기도
4) 성찬공동체—새로운 사회질서의 원형
4. 예수는 생명의 근원: 생태적 그리스도론
1) 시대의 징조
2) 철기문명의 발전에 대한 블룸하르트의 문제의식
3) 창세기 1–3장 강해
4)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시작되고 성취된 새 창조와 새 생명
5) 결론
5. 우주적 예수 그리스도
1) 19세기 독일 그리스도교의 상황
2) 블룸하르트의 종교비판—그리스도교와 그리스도교의 바깥 종교들
3) 종교에서 하나님 나라로
4) 우주적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
5) 결론
6. 선교는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전파와 발전의 완성
1) 19세기 독일 루터교의 해외선교
2) 블룸하르트의 선교 이해
■ 참고문헌
덧붙임 중국 선교사 빌헬름의 선교
1. 블룸하르트와 빌헬름
2. 빌헬름의 중국 선교
3. 동·서양 문화의 상호작용
4. 서양문명이 아시아에 끼친 영향, 인류 위기의 확산
5. 중국 전통이 서양에 가르쳐줄 수 있는 지혜
6. 계시와 문화의 상관관계
7. 정리
■ 참고문헌

제4장 20세기 초반 블룸하르트의 영향: 하나님 나라 운동과 신학사상
1. 예언자 사회주의 운동: 쿠터, 라가츠, 레준
1) 쿠터(H. Kutter)
2) 라가츠(L. Ragaz)
3) 레준(R. Lejeune)
2. 변증법적 신학운동: 칼 바르트 등
3. 예언자 사회주의자들과 변증법적 신학자들의 신학논쟁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