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쉬듯이, 또한 몸에 밴 습관처럼 자연스럽게 기도하고 싶은 성도들을 위한 기도 안내서이다. 기도에 대한 신학적 이론을 탐구한 책이라기보다는 무엇을, 언제, 어떻게 기도할 것인가에 대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준다. 12주간 저자가 제시하는 기도 방법을 따라하다 보면 하루 5분 기도가 24시간 기도가 되는 놀라운 체험을 하게 될 것이다. 책에는 2,000년 교회사에서 나타난 기도의 다양한 전통과 신앙선배들의 기도 습관도 소개되어 있다.
기도 훈련을 제대로 하고 싶은 소그룹에게 매우 유용한 지침서 역할을 할 <기도훈련을 위한 실습 가이드>도 별책부록으로 주어진다.
이제 하루 5분 기도가 ‘24시간 기도’가 된다!
기도를 습관처럼 하고 싶은 당신을 위한 기도 안내서
저자는 우선 하루에 두 번, 세 번, 다섯 번, 일곱 번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쉬지 않고 기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저 ‘기도생활 열심히 하라.’는 말뿐인 조언이 아니라 일상에서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 예를 들어 찬양으로 기도하기, 성서 본문으로 기도하기, 설교로 기도하기, 주기도문으로 기도하기, 중보기도로 기도하기, 전통적인 기도문 사용하기 등의 방법을 알려준다. 저자가 제시하는 이 방법들은 특히 하루 5분 이상 기도하기 힘들어하는 성도들에게 유용하다. 기도할 내용이 없어 더 이상 기도하지 못하는 성도들이라면 꼭 도전해보길 권한다. 하루 24시간이 모자랄지도 모른다! 저자는 또한 2,000년 교회사에서 나타난 기도의 전통을 개괄하면서 우리가 본받아야 할 신앙선배들의 기도 습관과 기도문을 소개한다. 이를 통해 독자들은 제대로 된 기도의 ‘모범’을 배우게 될 것이다.
# 박관수
고신대학교 신학과, 고려신학대학원(M.Div.), 고신대학교 대학원(Th.M.), ‘침례신학대학교 &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D.Min.)에서 공부했다. 육군 군목으로 군선교를 담당하였으며,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의 한인 목회와 도시 목회를 거쳐 지금은 거제도의 장자교회인 구영교회에서 행복하게 농어촌 목회를 하고 있다.
초대교회의 모습을 회복하는 교회갱신을 추구하며, 하나님 중심의 말씀 기도, 성서 읽기와 묵상을 비롯한 영성 회복, 매주일 성찬식의 회복, 세상을 변화시키는 변혁적 제자도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또한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신앙의 계승을 위해 정통 유대인들의 쉐마 교육을 한국의 실정에 맞게 적용하는 일과 기독교 대안학교, 홈스쿨링, 그리고 건전한 신학에 뿌리내린 개신교 수도원 등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분주하고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삶의 목적과 의미를 상실한 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참된 쉼을 누리는 영성의 신비를 나누어주고자 앞으로도 영성에 관련한 책을 집필하는 데 헌신하려고 한다.
# 차례
추천의 글 1 강영안(미국 칼빈신학교 교수・서강대학교 명예교수) 8
추천의 글 2 김순성(전 고려신학대학원장) 9
추천의 글 3 김운성(영락교회 담임목사) 10
추천의 글 4 안민(고신대학교 총장) 11
추천의 글 5 유해무(고려신학대학원 은퇴교수) 12
추천의 글 6 이상규(고신대학교 명예교수・백석대학교 석좌교수) 13
추천의 글 7 이인호(더사랑의교회 담임목사) 14
추천의 글 8 조병호(성경통독원 원장・미국 드루대학교 객원교수) 16
추천의 글 9 현용수(쉐마교육연구원장・서울교육대학교 초빙교수) 18
Chapter 1 기도는 습관입니다 22
Chapter 2 기도, 길게 할 필요 있나요 38
Chapter 3 하루에 두 번 정도는 기도할 수 있겠지요 50
Chapter 4 하루 세 번, 다섯 번, 일곱 번 기도는 무리일까요 66
Chapter 5 기도문 읽기와 기도문, 기도일기 쓰기도 기도에 도움이 될까요 80
Chapter 6 기도는 말씀으로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90
Chapter 7 기도와 묵상은 한 짝입니다 103
Chapter 8 시편은 기도의 교과서입니다 121
Chapter 9 주기도문을 암송만 하지 맙시다 131
Chapter 10 하루 종일 예수님을 생각할 수 있다면 150
Chapter 11 언제 어디에서나 숨 쉬듯이 기도할 수 있을까요 163
Chapter 12 가정과 교회에서 중보기도합시다 177
에필로그 200
주 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