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웨슬리안 사중복음교의학 서설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사중복음신학시리즈5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최인식‧오성욱‧김찬홍‧박영식‧장혜선
발행일 2018-08-30
규격 신국판 | 320쪽
ISBN 978–89–511–1916–3 93230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중생 ‧ 성결 ‧ 신유 ‧ 재림으로 보는
기독교 신앙고백


이 책은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의 조직신학자들이 사중복음(중생‧ 성결‧ 신유‧ 재림)의 관점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주제들을 신학적으로 전개한 총 5개로 된 논문 모음집이다. 각 논문은 “사중복음 교의학 150명제”를 골자로 정밀한 신학적 논증을 제시한다. 이 책은 성결교회의 전도표제인 사중복음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복음을 네 가지(중생‧ 성결‧ 신유‧ 재림) 주제로 나누어 이해한 것으로 성결교회의 목회자뿐 아니라, 복음에 대한 체계적 해석과 이해를 갖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할 것이다.

# 출판사 리뷰

이 책은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의 조직신학자들이 사중복음(중생‧성결‧신유‧재림)의 관점에서 전통적인 기독교 주제들을 신학적으로 전개한 총 5개로 된 논문 모음집이다. 각 논문은 “사중복음 교의학 150명제”를 골자로 정밀한 신학적 논증을 제시한다. 이 책은 성결교회의 전도표제인 사중복음에 대한 것이 아니라, 복음을 네 가지(중생‧성결‧신유‧재림) 주제로 나누어 이해한 것으로 성결교회의 목회자뿐 아니라, 복음에 대한 체계적 해석과 이해를 갖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유익할 것이다.

저자는 500년 전 종교개혁을 통해, 교회가 ‘복음’을 회복했지만, ‘온전한 복음’을 담아내는 교의학적 ‘틀’을 찾지 못한 결과, 교회들 간 신학적 차이로 여러 교파로 나뉘었음을 지적한다. 따라서 저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신학적으로 통합되고, 복음 자체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가진 대안이 필요하며 그것이 사중복음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중복음은 성결교회의 전도표제임과 동시에 ‘성결-오순절 운동’으로 태어난 모든 교회에게 ‘신학적 정체성’을 결정해 주는 중요한 교의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저자가 말하는 ‘교의’(dogma)란 교회의 기초로서 신앙의 대상이 되고, 객관적 성격을 지니는 ‘내용으로서의 신앙’이다. 이런 의미에서 사중복음은 사도신경처럼 객관적인 신앙고백의 내용으로서 교리적으로 풀어 다양한 관점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저자는 책 초반부에 “사중복음 신앙고백”, “사중복음 십자가 신앙고백과 회개” 그리고 이 책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사중복음 교의학 150명제”를 삽입했다. 이 “사중복음 교의학의 명제”를 골자로 5개의 논문에서 4개의 주제별로 정밀한 신학적 논증을 제시한다.

제1장 “사중복음 교의학 방법론”에서는 ‘신학서론’(prolegomena)을 계시로서의 은총, 성경 및 신앙이라는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고, 은총은 계시의 내용, 성경은 계시의 방법, 신앙은 계시의 인식이라는 관점에서 방법론을 전개한다. 제2장 “사중복음 중생론”에서는 칼뱅신학과 루터신학의 비교를 통해서 중생신학이 강조하는 “회개 후 중생”이라는 개념의 중요성, 웨슬리의 선행은총에 기반한 중생의 포괄적인 구원지평, 그리고 지속적인 제자의 삶으로 초대하는 구원의 계속성을 중생신학의 특성으로 제시한다. 제3장은 “사중복음 성결론”으로, 성결을 성령세례와 같은 개인의 영적 경험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이러한 경험에 대한 해석이 신학을 형성한다고 이야기한다. 즉, 공동체 및 개인의 초월적 경험에 근거해 신학이(바울신학, 교부신학 등) 형성되고, 그 후에는 그 신학을 통해 개별적 경험들을 비판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것이 영성과 신학의 관계이고 이러한 바탕에서 성결신학을 이야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4장은 “사중복음 신유론”으로, 저자는 하나님의 치유는 악한 영들과의 투쟁이며, 병든 몸과 마음의 회복과 사회적 관계의 회복, 삶의 총체적 회복을 가져온다고 이야기한다. 이와 함께 저자는 신유운동의 폐해도 언급하면서 하나님의 치유는 교회공동체 내에서 여러 사람들의 돌봄과 기도를 요구하는 객관적이고 공적인 사건으로 경험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제5장은 “사중복음 재림론”에 관한 부분이다. 저자는 재림에 대한 성경적 이해부터 다양한 종말론의 유형들을 살피고, 각 유형들이 제시하는 재림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특징들을 열거한 후 성결교회가 고백하는 재림론에 대해 이야기한다. 무엇보다도 저자는 재림신학은 그리스도 재림의 메시지 본질을 정확하게 선포하며 공동체를 세우는 데 기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최인식
서울신학대학교 졸업
독일 베를린신학대학원(현, 베를린훔볼트대학교, 조직신학, Dr. theol.)
(전) 한국조직신학회장
(현)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현)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장

▪오성욱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신학대학원 졸업
미국 듀크 대학교 신학대학원(MTS)
미국 베일러 대학교 대학원(Ph. D.)
(현) 용인 마평교회 담임목사
(현) 서울신대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연구원
(현)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목회신학연구원 원감

▪김찬홍
고려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미국 보스톤 대학교(STM, Ph. D.)
(현) 하남중앙교회 담임목사
(현) 산곡기도원 원목
(현) 서울신학대학 강사(조직신학)

▪박영식
서울신학대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졸업
독일 빌레펠트의 베텔 신학대학 졸업(Dr. theol.)
(현) 서울신학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장혜선
서강대학교 생물학과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Th. M. / Ph. D.)
(현) 서울신대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연구원
(현) 은평교회 협동목사




▒ 추천사 / 3
▒ 머리말 / 5
▒ 사중복음 신앙고백과 선교사명 / 16
▒ 사중복음 제네바 신앙고백 / 19
▒ 사중복음 교의학 150명제 / 22

제1장 사중복음 교의학 방법론_ 최인식
I . 들어가는 말: 과제와 상황 / 33
II . 사중복음 교의학의 자리와 현실성 / 42
III . 사중복음과 계시 내용으로서의 은총 / 62
IV. 사중복음과 계시 도구로서의 성경/ 73
V. 사중복음과 계시 인식으로서의 신앙(Fide) / 84
VI . 맺음말 / 97

제2장 사중복음 중생론_ 오성욱
I . 들어가는 말 / 101
II . 사중복음과 장 칼뱅의 신학적 전제의 차이 / 104
III . 사중복음과 칼뱅의 은총론에서 파생된 중생 이해의 차이 / 114
IV. 사중복음신학과 마르틴 루터 신학의 인간론과 구원론의 차이 / 121
V. 맺음말 / 131

제3장 사중복음 성결론_김찬홍
I . 문제 제기: 성결의 중요성 / 138
II . 성결의 의미 / 148
III . 성결신학의 쟁점들 / 156
IV. 맺음말: 성결신학의 나아갈 길 / 170

제4장 사중복음 신유론_박영식
I . 들어가는 말: 신유는 계속된다 / 175
II . 신유의 정의와 범주 / 190
III . 신유의 이유와 목적 / 206
IV. 신유의 신학 / 221
V. 맺음말 / 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