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교육은 일차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실현을 그 목표로 삼고 있다. 하나님 나라의 지평에서 현실을 인식하고, 현실을 바꾸고, 변화된 현실을 다시 바꾸어나가는, 그리하여 현실과 하나님 나라가 일치될 때까지 진행되는 과정이다.
창세기의 창조기사를 포함한 성서 전반에서는 자연과 인간이 공존해야 함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가 마주한 현실은 인간이 자연 위에 군림하고 있는 형국이다. 하나님의 생명의 법칙을 위반한 데에서 비롯된 오늘날의 종말적 상황, 반(反)생태적 현실에서 저자는 기독교교육이란 무엇이며, 기독교교육은 왜 생태교육이어야 하는지를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뉘어져 있는데 제1부에서는 저자의 대학 강의실에서 이루어진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기독교교육의 개념과 그 역사적 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소개하였다. 제2부에서 저자는 색다른 시도를 하는데, 성서를 크게 5개의 주제로 나누어 성서가 하나님의 교육과정이며, 그것이 생태적 지평에 서 있다는 사실을 논증하였다. 제3부는 논의의 결론으로서 생태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지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에는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육하원칙의 정리된 모습으로 제시하며 독자들에게 기독교교육이 추구할 새 에덴동산에 대한 분명한 이미지를 그려주고 있다.
기독교교육에 대한 기본 개념과 그 역사적 과정, 현실 인식과 대안 제시를 통한 저자의 주장은 오늘날의 현실과 하나님 나라 사이의 간극을 메우는 데 소중한 자양분이 될 것이다. 오랜 시간 기독교교육학을 연구하며 가르쳐온 저자의 노력이 깃든 이 책이 기독교교육의 방향과 방법에 대한 나침반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 종말의 위기’라는 한계점에 서서 대안을 찾으려는 이 땅을 하나님 나라로 변모시키는 데 일조하기를 기대해 본다.
한신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신학, 철학, 교육학을 공부하고 신학박사학위(Th. D.)를 취득하였다. 한국신학연구소와 한신대학교 평화교육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으며, 현재 한신대학교 신학부(기독교교육학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하나님 나라 운동의 일환으로 기독교생태교육연구소를 설립하여 스승 이준모 박사, 기독교교육학과 후배 동문들, 제자들과 더불어 ‘생태‧삶‧교육’ 활동을 펼쳤다.
몇 년 전부터는 교내에 생태교육실습장을 만들어 학생들과 텃밭을 일구며 그 안에서 하나님의 생명의 법칙과 생명노동의 방식을 일깨우고 있다. 또한 대안교육과 생태운동 프로젝트, 한국교회의 위기 극복을 위한 프로젝트로서 교사(부부, 노인) 교육, 교육활동 프로그램 및 실험교재 개발을 기획하고 있다.
저서로
머리말 ․ 006
제1부 기독교교육의 개념과 전개
Chapter 1 기독교교육이란 무엇인가 / 017
Chapter 2 예수의 하나님 나라 운동과 기독교교육 / 029
Chapter 3 세계교회의 하나님 나라 운동과 기독교교육의 방향 / 037
1. 하나님의 선교 개념과 하나님 나라 운동 / 039
2. 정의와 하나님 나라 운동 / 041
3. 해방과 공동체 형성을 위한 하나님 나라 운동 / 045
4. “정의, 평화, 창조질서의 보전”과 하나님 나라 운동 / 049
5. 폭력 극복(DOV)-아가페(AGAPE) 소명과 하나님 나라 운동 / 051
6. 공동의 미래를 향한 하나님 나라 운동 / 054
7. 하나님 나라 운동과 기독교교육의 방향 / 057
Chapter 4 하나님 나라 운동으로서의 기독교 민중교육 / 061
1. 한국 교회교육의 흐름 / 062
2. 1960년대 말 한국의 정치・경제적 상황과 민중운동의 태동 / 064
3. 선교 및 신학, 교육에 대한 이해의 변화 / 069
4. 기독교 민중교육론의 구조 / 079
5. 평가 / 085
Chapter 5 기독교 민중교육에서 기독교 생태교육으로 / 088
1. 기독교 민중교육에 대한 비판과 반성적 고찰 / 089
2. 해방의 주체로서의 민중 / 094
3. 민중 해방을 넘어서 / 102
4. 기독교 민중교육에서 생태교육으로 / 106
Chapter 6 생태담론들과 기독교 생태교육의 방향 / 108
1. 생태담론들에 대한 유형별 고찰 / 110
2. 생태담론들의 중심 주제 : 자연, 사회, 영(종교) / 119
3. 기독교 생태교육의 방향 / 127
제2부 생태공동체를 위한 하나님의 교육-생태교육적 성서해석
Chapter 1 생태교육적 성서해석의 방법론 / 135
Chapter 2 창세기 신화의 생태적 의미 / 142
Chapter 3 십계명에 나타난 이스라엘의 교육철학과 생태교육적 성격 / 152
Chapter 4 구원사의 두 가닥-해방과 죄의 변증법 / 159
Chapter 5 하나님 나라가 가까웠다 / 168
Chapter 6 생태적 영성의 계시 / 174
1. 하나님 나라와 영성 / 174
2. 율법과 영성 / 176
제3부 생태 시대의 기독교교육
Chapter 1 기독교교육의 새 지평 / 187
Chapter 2 종교와 과학의 통일을 위한 기독교 생태교육 / 195
1. 종교적 세계관 / 197
2. 과학적 세계관 / 202
3. 종교적 세계관과 과학적 세계관의 통일의 가능성 / 207
4. 종교와 과학의 통일을 여는 기독교 생태교육 / 212
Chapter 3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 / 214
1. 왜 / 216
2. 무엇을 / 219
3. 누가 / 239
4. 어떻게 / 242
5. 맺는말 / 250
참고문헌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