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의화단과 한국 기독교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이혜원
발행일 2016-09-10
규격 신국판 | 312
ISBN 978—89—511—1858–6 93230
정가 13,000원
판매가 11,7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의화단운동은 1900년 중국에서 일어난 폭력적인 반기독교·반외세 운동이다. 같은 해 한국에서는 유례없이 거센 반기독교 운동과 반서양 운동이 일어나고, 급기야 음력 10월 15일을 기해 전국의 모든 선교사와 기독교인을 일시에 도륙하라는 고종황제의 거짓 밀서가 전국에 뿌려진다.
중국 선교사와 신자들이 국경을 넘어 물밀 듯이 한국으로 피난오고, 한국의 의료 선교사도 의화단 전쟁에 소환된다. 그리고 세계의 기독교 선교회들은 1900년 이후 선교정책에 대대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한국 선교부도 이에 동승하여 한국 기독교 선교정책도 일대 전환기를 맞는다.
1900년 한국의 기독교를 정확히 바라보기 위해, 그리고 지금의 한국 기독교를 이해하기 위해서도 ‘의화단’이라는 퍼즐 조각이 필요하다. 이 책은 중국에서 발생한 의화단운동이 한국 기독교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밝히고 있으며, 그동안 잘 설명되지 못한 1900년 한국 땅에서 일어난 기독교 사건들의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이혜원

연세대학교 신학과
홍콩 중문대학교 崇基學院 종교학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 박사(교회사)
중국 복단대학교 대학원 역사학 박사 수료(중국사)
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이사
연세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강사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왜 의화단인가? ............................................................................................. 15

제2장 의화단 발생 이전, 19세기 중국과 한국에서의 반기독교 운동 ....... 21

1. 중국에서의 반기독교 운동 • 21
1) 아편전쟁, 불평등 조약, 선교권 획득 • 21
2) 19세기 중국에서의 구교운동 • 32
2. 한국에서의 반기독교 운동 • 39
1) 19세기 가톨릭 박해 • 39
2) 구한말의 반기독교 운동 • 42

제3장 의화단운동과 중국 기독교 ..................................................... 47

1. 의화단운동과 전쟁의 발발 • 47
2. 의화단의 종교적 특성 • 53
3. 의화단운동과 중국 기독교 • 56
1) 중국 교회의 수난 • 56
2) 교회의 배상금 처리 문제 • 65
3) 뉴욕 초교파 선교회의 • 68
4) 의화단 발생 원인에 대한 논쟁 • 73

제4장 의화단운동과 한국의 반기독교 운동 .......................................... 81

1. 의화단운동과 구한말 한국 사회 • 81
1) 피난민의 유입과 한중 국경지역의 소요 • 81
2) 의화단 전쟁으로 인한 한국의 사회·경제적 혼란 • 90
3) 정치적 긴장과 고종의 대응 • 93
2. 한국의 반기독교, 반선교사 운동 • 97
1) 동학의 의화단 모방과 기독교 공격 • 97
2) 기독교·비기독교인의 충돌 사건, 서양인 배척 사건의 증가 • 106
3) 신축년 제주교안(辛丑年 濟州敎案) • 116
3. 의화단운동과 도륙밀지사건(屠戮密旨事件) • 124
1) 도륙밀지사건 연구에 대한 재고 • 124
2) 도륙밀지사건의 주모자 문제 • 129
3) 의화단과 도륙밀지사건의 관계 • 137

제5장 의화단운동과 한국 기독교 현장 ............................................. 152

1. 만주지역 한인 기독교의 피해 • 152
1) 만주 한인 기독교의 역사 • 152
2) 의화단에 의한 한인 기독교의 피해 • 159
3) 의화단운동 이후 만주 기독교의 부흥 • 164
2. 한국 교회에 미친 영향 • 165
1) 중국 피난 선교사와 한국 선교사회 • 168
2) 한국 교회의 중국 교회 구제활동 • 177
3) 한국 선교사들의 활동 • 186
3. 한국으로 부임지를 옮긴 선교사 • 193
1) 캐나다 장로회 루이스 맥컬리 선교사 • 194
2) 미북장로회 조지 렉 목사와 프란시스 오클리 선교사 • 196

제6장 한국 기독교의 의화단 인식과 이후 선교정책의 변화 ....................... 201

1. 한국 기독교의 의화단 인식 • 201
1) 「대한그리스도인회보」를 통한 감리교회의 의화단 인식 • 202
2) 「그리스도신문」을 통한 장로교회의 의화단 인식 • 211
3) 한국 기독교인들의 의화단 인식 • 216
2. 선교사들의 의화단 인식과 한반도 정세 인식 • 220
1) 당시 내한 선교사들의 지형도 • 221
2) 선교사들의 의화단 인식 • 237
3) 선교사들의 한반도 정세 인식 • 245
3. 의화단운동이 한국 선교정책에 미친 영향 • 250
1) 1900년 이후 미북장로회의 자치원칙 강화 • 254
2) 1901년 한국 장로회의 정교분리 정책 • 275
3) 1900년 이후 미감리회의 자립원칙 강화 • 281

제7장 결론 ............................................................................. 289

참고문헌 • 2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