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이 책은 제목 그대로 기독교 신학 개론서이다. 이 책은 우선적으로 기독교 신학에 입문하는 신학생들의 교육을 위한 주교재로 기획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기독교 신학에 관심이 있는 평신도 및 일반 독자들도 이 책의 잠정적인 대상이다. 한국 교회는 지난 100년의 짧은 역사 속에서 급성장했지만, 목회자들을 포함한 한국 기독교인들의 신학적 사고능력은 많이 부족하다. 한국 교회는 맹신, 맹종을 믿음이라 말하고 이성과 지성의 희생이 신앙에 불가피한 조건이라고 강변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책은 기독교 신학의 주요 주제들에 대해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게 설명한다. 성서와 2000년 기독교 신학 전통에 충실하면서도 최근의 신학적 동향이 반영되어 있고 또 필자의 일관된 신학적 관점이 스며들어 있다. 현재 한국 신학교에서 사용되는 신학개론서들은 대다수가 번역서들이다. 오랜 전통의 서구 신학 및 학문 방법으로부터 양분을 공급받고 세계 신학의 동향을 파악하는 일이 긴요함은 이론의 여지가 없지만, 이와 동시에 한국과 한국 교회의 특수한 상황 속에서 신학적 사고를 하고 그 결과물을 체계화하는 일은 또한 중대한 과제이다. 다양성 안에서의 연합과 일치를 추구하는 에큐메니칼 정신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이때에 그러한 과제는 더욱 절실한 것이다. 이 책은 이를 염두에 두면서 우리가 속한 교회 전통과 신학적 정체성을 계승 발전시키는 동시에 배타적 당파성을 넘어서는 에큐메니칼적 영성과 통전적 신학을 지향한다. 저자 윤철호 교수는 『신뢰와 의혹』,『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설교의 영광, 설교의 부끄러움』등으로 널리 알려 졌고 여러 차례 권위 있는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윤철호 장로회신학대학교(Th. B., M. Div.)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Th. M.) Northwestern University(Ph. D.) 낙원벧엘교회 담임목사 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 저서 『성서·신학·설교』(장로회신학대학교, 2000),『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장로회신학대학교, 2003), 『통전적 신학』(공저)(장로회신학대학교, 2004),『21세기 한국교회와 하나님 나라를 위한 실천신학』(장로회신학대학교, 2006),『세계와의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한국장로교출판사, 2006)(제23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 『신뢰와 의혹』(대한기독교서회, 2007)(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신학과 말씀』(장로회신학대학교, 2008),『삼위일체 하나님과 세계』(장로회신학대학교, 2011), 『너희는 나를 누구라 하느냐』(대한기독교서회, 2013)(제30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설교의 영광, 설교의 부끄러움』(장로회신학대학교, 2013)(제8회 소망학술상, 제31회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신학부문 최우수상) 역서 『현대기독교조직신학』(Peter C. Hodgson, Robert H. King 편/한국장로교출판사, 1999),『과학과 종교』(공역)(Ted Peters 편/동연, 2002),『질그릇 안에 담긴 보배』(세계교회협의회 엮음/한국장로교출판사, 2002),『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Paul Ricoeur/서광사, 2003),『천국의 소망』(공역)(Alister E. McGrath/크리스천 헤럴드, 2005),『다원성과 모호성』(공역)(David Tracy/크리스천 헤럴드, 2007),『현대신학자들의 설교』(편역)(도서출판 한들, 2011)
머리말 제1장 신학 서론 1. 신학의 정의와 전제/2. 신학의 역사적 기원과 필요성/3. 신학의 여러 분야와 교의학(조직신학)의 위치/4. 신학의 과제와 질문/5. 신학의 두 가지 양극적 요소/6. 신학의 세 가지 패러다임과 통전적 신학 제2장 계시 1. 계시의 정의와 의미/2. 일반계시와 특별계시/3. 교회의 역사 속에 나타난 다양한 계시 이해/4. 계시의 여러 모델/5. 계시, 성서, 교회/6. 계시 이원론과 일원론(율법과 복음), 완결성과 지속성/7. 계시의 범위와 종교신학의 문제 제3장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일반학문) 1. 성서에서의 믿음/2. 신앙과 지식(이해)/3. 고대와 중세 시대의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4. 종교개혁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5. 오늘날의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일반학문)/6.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일반학문)의 관계/7. 포스트 토대주의 신학 제4장 성서 1. 성서 이해의 역사: 신학의 원자료와 규범/2. 성서에 대한 올바른 이해/3. 성서의 다양성과 통일성/4. 성서와 교회 전통/5. 역사비평의 정당성과 한계점/6. 통전적 성서해석의 원리 제5장 하나님 1. 성서에 나타난 하나님/2.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하나님 이해/3. 자연신학의 신 존재 증명과 하나님 인식/4.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5. 하나님의 초월성과 내재성/6. 삼위일체론 7. 최근의 신론의 주요 주제들 제6장 창조세계 1. 성서와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창조세계/2. 창조의 모델들/3. 창조론의 주제들/4. 최근의 창조신학의 주요 주제들 제7장 인간 1. 성서와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인간 이해/2. 현대 신학자들의 인간 이해/3. 인간 안의 하나님의 형상/4. 영혼과 육체의 관계/5. 인간 실존의 변증법적 단계들 제8장 섭리, 죄와 악, 신정론 1. 성서에서의 하나님의 섭리/2.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섭리론/3. 세계와의 초월-내재의 이중적 관계성 안에서의 하나님의 섭리/4. 하나님의 선택(예정)/5. 성서와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죄 이해/6. 현대 신학자들의 죄 이해/7. 원죄론에 대한 이해/8. 악과 신정론/9. 악과 신정론 문제에 대한 잠정적 결론 제9장 예수 그리스도와 구원 1. 성서와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기독론/2. 기독론의 방법/3. 구원론적 기독론: 주관주의와 객관주의/4. 인성 기독론과 신성 기독론/5. 참 인간, 참 하나님/6. 구속교리/7. 부활/8. 역사적 예수 연구 제10장 성령과 기독교인의 삶 1. 성서와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성령과 기독교인의 삶/2. 성령의 인격(위격)과 사역/3. 오늘날 성령론의 특징/4. 성령과 기독교인의 삶 제11장 교회 1. 교회의 정의/2. 신약성서의 교회/3. 고대와 중세의 교회론/4. 종교개혁기의 교회론/5. 현대신학에서의 교회론/6. 교회의 표지/7. 드러난 교회와 숨어 있는 교회/8. 교회와 국가, 교회의 민주화/9. 교회의 직제와 목회사역/10. 성령의 능력 안에서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섬김 공동체로서의 삼위일체적 교회 제12장 말씀 선포와 성례전 1. 말씀 선포/2. 성례전/3. 말씀과 성례전의 관계/4. 세례와 유아세례/5. 성만찬/6. 세례와 성만찬의 윤리적 의미 제13장 종말론 1. 서론/2. 성서의 종말론/3. 교회의 역사 속에서의 종말론: 고대에서 17세기까지/4. 근대의 기독교 종말론의 위기/5. 개인적 종말론: 죽음과 부활/6. 천년왕국설/7. 현대 신학자들의 종말론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