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떻게 그리스도인이 되는가? 왜 그리스도인인가? 이 세상에서 그리스도인으로 존재하고 산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마르틴 루터는 핵심적으로 믿음과 사랑이라는 한 쌍의 신학적 주제를 통해서 이 문제들을 풀어낸다.
저자는 이 한 쌍으로서의 믿음과 사랑이라는 신학적 주제에 대한 루터의 가르침의 내용과 구조, 그리고 그 진가가 기존 루터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했음에 도전한다. 그리고 오직 믿음에 의해서만 의롭게 된다는 루터의 가르침의 중요성을 거부한다는 의미에서가 아니라, 루터 신학 전체에 있어서 그것의 중요성만을 일방적으로 그리고 배타적으로 과장하는 해석의 틀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면서 저자는 1535년 『갈라디아서 강해』에 초점을 맞추어 그리스도(복음)와 법과의 역동적 관계 속에서 믿음과 사랑에 관한 루터의 가르침을 분석한다. 저자의 논지는 다음과 같이 논리적으로 요약 정리될 수 있다. 첫째, 『갈라디아서 강해』는 문학적 구조의 차원에서나 내용적 차원에서나 모두 믿음과 사랑이라는 한 쌍의 신학적 주제를 가장 포괄적이고도 주된 주제로 사용한다. 둘째, 루터는 믿음과 사랑에 대한 자신의 가르침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를 알려주는 해석의 틀을 제공한다. 셋째, 이 해석의 틀은 두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영어교육/B. A., 영문학/M. A.)
연세대학교 (기독교교육/M. A., Ph. D.)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M. Div., 교리사/Ph. D.)
튀빙겐 대학교(교환학생)
한국기독교학회 편집간사 역임
현, 한국교회사학회 서기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
저·역서 및 논문
Luther on Faith and Love: Christ and the Law in the 1535 Galatians Commentary (Minneapolis, MN: Fortress Press, 2014)
『초기 기독교 교부들』(LCC 1권 번역서/ 서울: 두란노아카데미, 2011)
“Luther on Faith and Love: The Overriding Thematic Pair in the Dynamics of Christ and the Law in the 1535 Galatians Commentary.” (magna cum laude) 프린스턴 신학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8.
“종교개혁사적 관점에서 본 루터의 교육사상과 교육개혁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칼빈의 ‘첫째 아담-마지막 아담’ 모형론-로마서 5장과 고린도전서 15장에 대한 주석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86(2013), 89-114.
“Luther on ‘Sabbatical Observance’.” Korean Journal of Christian Studies. 87(2013), 81-102.
“교황수위권에 대한 그레고리우스 7세와 마르틴 루터의 입장: 마태복음 16장과 요한복음 21장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학회지」 35(2013), 7-40 외 다수.
감사의 말씀
제1장 서론
I. 들어가는 말
II. 연구동기
III. 연구논지
IV. 연구의 필요성
V. 연구방법
VI. 연구순서
제2장 선행연구
I. 투오모 만네르마아와 현대 핀란드 루터학파
II. 다른 연구들
III. 필자의 연구
제3장 믿음과 사랑
수동적 의와 거룩함의 차원
I. 두 차원: 믿음과 사랑을 위한 해석의 틀
II. 사랑에 의해 형성된 믿음
1. 공로사상과 사랑에 의해 형성된 믿음: 토마스와 비엘
2. 루터의 반론
III. 법과 그리스도 간의 결투
IV. 그리스도에 의해 형성된 믿음
V. 내부 논적들에 대한 비판
제4장 믿음
그리스도를 붙잡는 유일한 수단
I.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믿음: 세 가지 특성
1. 지식으로서의 믿음
1) 하나님에 대한 지식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지식
3) 자기 자신에 대한 지식
2. 신뢰로서의 믿음
3. 사랑으로 열매 맺는 믿음
II. 법과 그리스도: 수동적 의와 거룩함의 차원
제5장 믿음과 사랑
능동적 의와 거룩함의 차원
I. “으로부터의 자유”에서 “을 향한 자유”
II. 그리스도가 준 사랑의 법
III. 법을 성취하는 이중 방식
IV. 그리스도론적 용어와 개념 활용
1. 절대적 믿음과 육화된 믿음
2. “새로운 신학적 문법”
3. 그리스도가 주어진 이중 방식
4. 그리스도가 오는 이중 방식
5. 그리스도를 입는 이중 방식
V. 비유들
1. 그리스도처럼 그리스도인도
2. 행위자와 행위
3. 나무와 열매
제6장 사랑
믿음의 진위를 가리는 수단
I. 믿음의 열매 사랑: 세 가지 관계
1. 하나님과의 관계에서의 사랑
2. 이웃과의 관계에서의 사랑: 소명
3.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의 사랑: 의인이면서 죄인
1) 자기사랑의 세 가지 의미
2) 자기 자신과의 관계에서 맺는 믿음의 열매
II. 법과 그리스도: 능동적 의와 거룩함의 차원
제7장 결론
I. 두 가지 논점
1. 신화(theosis)
2. 법의 제3용법
II. 향후 연구계획
III. 나가는 말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