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다원주의 사회에서 기독교는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마틴 팔머 | 강순원 옮김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11-02-15
규격 신국변형 | 144쪽
ISBN 978-89-511-1397-0 93230
정가 8,500원
판매가 7,65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이 책은 언제, 어디서든 의미 있는 교육을 실천해야 할 기독교가 다원주의 사회에서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 것인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도록 만든다. 저자는 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기독교인들은 그동안의 배타적인 모습을 던져버리고, 종교적 다양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하나님의 은총으로 받아들여 다양성이 교육에 미치는 함의를 진지하게 숙고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 ‘왜, 무엇을 걱정하는가?’는 일찌감치 교육을 중요한 선교의 요소로 여겨, 전 세계에 학교를 세운 기독교가 눈부신 성장 이후 봉착한 기독교 학교의 딜레마에 대해 다룬다. 2장 ‘교육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는 기독교가 많이 관여해온, 이른바 공식적·국가적·세속적이라고 일컬어지는 교육을 아우르는 전반적 가정을 살핀다. 3장 ‘다원주의란 정확히 무엇인가?’는 다원주의의 역사적 전거, 이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 다양성을 수용한 사례들을 다룬다. 4장 ‘교육은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는가?’는 교육은 다양성을 현존하는 것으로, 정당한 것으로 그리고 중요한 것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이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는 국가들의 교육을 조명한다. 마지막으로 5장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는 기독교인으로서 교육에 참여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고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본적인 단계들과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한다. 더불어 이제껏 살펴보았던 다양성과 교육의 관계를 기독교의 문제로 받아들여 기독교가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해 이야기 한다.
기독교는 더 이상 위대한 성인이나 선교사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학교에 매달려서는 안 되며 교육에 관여하는 스스로를 되돌아보아야 한다. 기독교는 다원주의적 상황에서는 무엇인가를 할 수 있고 또 해야만 한다는 수많은 환상을 버려야 한다. 교육과 다원주의로 하여금 불확실성의 세계에서 빠지기 쉬운 함정을 피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독특한 모델, 경험 그리고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기독교는 이제 예수 그리스도의 모델로 되돌아 가 새로운 하나님의 이야기를 전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기독교인들이 종교적 다양성과 문화적 다양성을 하나님의 은총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러한 다양성이 교육에 미치는 함의를 진지하게 숙고해야 한다는 것이다.”
-클리포드 페인 WCC 교육분과위위원회 위원장




마틴 팔머
영국 캠브리지대학교에서 종교학과 신학을 공부한 중국 전문가로 교계활동과 번역활동을 비롯하여 방송과 환경운동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종교, 교육,문화에 관한 국제 자문단’(ICOREC) 대표 및 ‘종교와 보전 연맹’(Alliance of Religions and Conservation, ARC) 사무총장을 맡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Faith in Conservation; New Approaches to Religions and the Environment, Religions of the World: The Illustrated Guide to Origins, Beliefs, Traditions and Festivals 등이 있다.




옮긴이

강순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교육사회학을 전공했으며 1988년 이래 한신대학교 기독교교육학과교수로 재직하면서 교육사회학, 평생교육, 평화교육, 인권교육 등을 가르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자본주의사회의 교육』(창작과비평), 『한국교육의 정치경제학』(한길사), 『평화.인권.교육』(한울), 『평화교육을 여는 또래중재』(커뮤니티) 등이 있다.




감사의 글

1장 왜, 무엇을 걱정하는가?
하나님의 두 권의 책: 말씀과 자연
기독교 학교의 성장
기독교 학교의 딜레마

2장 교육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
교육에서의 여섯 가지 쟁점
다원주의적 미래 비전

3장 다원주의란 정확히 무엇인가?
다원주의의 역사적 전거
기독교의 대응
다양성의 수용?

4장 교육은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는가?
다양성 교육의 사례: 케냐와 유럽
권위주의적 대응: 싱가포르와 일본
다양성 교육의 사례: 네덜란드

5장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교육의 객관성?
다원주의 교육의 세 단계
새로운 모델

역자 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