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오스 이론은 기본적으로 우리가 사는 세상이 단순히 한두 가지 요소들의 개별적인 관계만으로 이루어진 단순계가 아니라, 여러 요소들의 상호 유기적인 관계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진 복잡계의 성격을 갖는다. 그런데 하나님의 말씀인 성서가 카오스 이론의 기본적인 주장들을 이미 오래 전부터 그 안에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은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사실 혼돈과 무질서에서 질서 있는 세계를 만드신 창조 이야기와, 하나님의 역사적인 구원 행동을 혼돈 세력을 멸하시는 하나님의 활동과 동실시하는 성서의 본문들, 인간의 삶과 역사가 미래를 쉽게 예측할 수 없는 복잡계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그 안에 감추어진 하나님의 섭리와 손길로 인하여 질서와 구원을 향해 나가고 잇음을 밝히는 본문들은 카오스 이론의 기본 특징을 잘 반영하는 것들이다.
이 책은 저자가 카오스 이론의 기본 주장과 성서의 다양한 가르침 사이에 있는 놀라운 유사성에 착안하여 집필됐다. 저자는 책을 통해 카오스나 혼돈의 요소, 이를테면 어둠이나 고통의 요소를 무턱대고 배척해야 할 악의 축으로 규정하던 이분법적인 사유를 반성하는 차원에서라도 카오스 이론의 신학적인 응용이 매우 필요함을 역설한다.
강성열
서울대학교 영문과(B. A),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M. Div), 대학원(Th. M)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신학박사(Th. D)학위를 받았다. 현재 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
저서로는 『성서로 보는 결혼 은유』(성광문화사, 1988), 『현대인을 위한 창세기 강해』(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구약성서와 오늘의 삶 1, 2』(한국장로교출판사, 1988), 『구약성서개론』(한국장로교출판사, 2000/공저), 『구약성서의 신앙과 세계』(한들출판사, 2001), 『설교자를 위한 성서해석학 입문』(대한기독교서회/공저), 『고대 근동 세계와 이스라엘 종교』(한들출판사, 2003), 『오늘의 눈으로 읽는 구약성서』(쿰란출판사, 2003), 『시간과 종말』(쿰란출판사, 2003/공저), 『신명기: 원문번역·역사비평 주석』(감신대출판부, 2004/공저), 『구약성서로 읽는 지혜·예언·묵시』(한들출판사, 2004) 등이 있다.
제1장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제2장 카오스 이론이란 무엇인가?
1. 결정론적인 사유에서 불확정성의 법칙으로
2. 단순계에서 복잡계로
3. 카오스에서 질서로
제3장 창조와 혼돈
1. 고대 근동 지역의 창조신화들에 나타나는 혼돈 개념
2. 고대 중국과 한국의 창세신화들에 나타나는 혼돈 개념
3. 고대 이스라엘의 창조신앙과 혼돈
제4장 혼돈 개념의 역사화 : 혼돈 세력에 대한 승리와 하나님의 구원
1. 혼돈 세력에 대한 승리와 출애굽 해방
2. 혼돈 세력에 대한 승리를 노래하는 시편
3. 혼돈 세력을 향한 예언자들의 심판 선고
제5장 불확정성의 원리가 지배하는 인간의 삶과 역사, 그리고 하나님의 섭리
1. 하나님의 감추어진 섭리
2. 상황 반전과 운명 전환이 연속
3. 인과율의 신학을 넘어서는 하나님의 신비로운 창조 주권
4. 인간 지혜의 한계와 야웨 경외
5. 측량키 어려운 세상일과 하나님의 세상 주관
제6장 광야의 혼돈 상황과 하나님의 구원
1. 혼돈의 땅 광야와 하나님의 도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