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위일체론은 어렵고 추상적인 교리로 알려져 있다. 어떻게 한 분 하나님이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인격으로 존재할 수 있는가? 하나이면서 동시에 셋인 존재는 정말 가능한 일인가? ‘가능해 보이지 않는’ 이 교리는 그동안 교회 안에서 그저 ‘믿음의 대상’으로만 여겨져왔다. 심지어 일부 기독교인들은 삼위일체 교리를 무의미한 사변으로 거부하기도 했다. 그러나 삼위일체론은 역사적으로 볼 때 언제나 기독교 신앙의 중심에 서 있었다. 삼위일체론은 성서가 증언하는 예수 그리스도와 초대교회 기독교인들의 하나님 체험에 깊이 뿌리박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 신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서는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바른 이해가 필요한 것이다.
1970년대 중반 이후 많은 학자들이 삼위일체론을 깊이 연구하기 시작했으며 그 결과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에 대한 사변적이며 비실제적 교리가 아니라 기독교 신앙의 중심이자 대단히 실제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는 교리라는 점이 밝혀졌다. 이 책은 그 중요성과 가치가 새롭게 발견되면서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최근의 삼위일체 신학을 전체적으로 서술하고 평가한 책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 나온 삼위일체론 저서들이 주로 삼위일체론에 대한 일반적인 서술에 치중한 데 비해 이 책은 삼위일체론 연구의 대가들의 사상을 깊이 있게 다룸으로 삼위일체론을 총체적으로 연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학문적 가치와 의미를 가진다.
박만
장로회신학대학원, 미국 프린스턴신학교(Th. M)와 토론토의 Toronto School of Theology(Ph. D)에서 공부했으며 토론토의 St. Michael's College, University of Toronto에서 현대 삼위일체론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부산 장신대 교수. 저서로는 『최근 신학연구: 해방 신학에서 생태계 신학까지』, 『폴 틸리히: 생애와 사상』 등이 있으며 역서로 『우리의 신앙』, 『존 베일리의 기도 일기』, 『성령의 씨앗들: 20세기 영적 지혜의 글 모음』 등이 있다.
제1장 최근 삼위일체 신학의 주요 동향들
1. 최근 삼위일체 신학의 특징
2. 최근 삼위일체 신학: 평가와 전망
제2장 구원 역사의 진술로서의 삼위일체론
1. 바르트와 라너: 삼위일체를 구원사의 맥락에서 본 선구자들
2. 선재적 실재로서의 내재적 삼위일체: 바르트, 융엘, 슈넨버르흐, 공가르, 카스퍼
3. 종말론적 실재로서의 내재적 삼위일체론: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위르겐 몰트만, 캐서린 라쿠냐, 테드 피터스
제3장 유신론과 무신론의 극복으로서의 삼위일체론
1. 유신론의 내용 및 무신론과의 관계
2. 칼 바르트
3. 에버하르드 융엘
4. 위르겐 몰트만
제4장 사회적 삼위일체론의 성장과 확대
1. 교회 역사 속에서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2. 현대의 대표적 사회적 삼위일체론자들
제5장 삼위일체론과 대속론
1. 조앤 칼슨 브라운: 하나님의 범우주적인 자녀 학대로서의 대속
2. 복음주의적 대속 이해: 존 스토트의 형벌 만족설
3. 에큐메니컬 신학의 대속 이해: 위르겐 몰트만의 십자가 신학
제6장 삼위일체론과 성 문제
1. 성부, 성자, 성령이란 표현은 성차별적인가? 다섯 가지 답변들
제7장 삼위일체론과 세계 종교
1. 라이문도 파니카의 삼위일체 신학
2. 파니카의 불이론적 삼위일체론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