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대의료선교와 특수교육의 선구자 로제타 홀, 일제 치하에서 핍박당하던 조선의 신앙인들, 그들은 어떤 찬송을 불렀을까? 믿음의 선조들이 부른 찬송은 삶의 이야기이고, 이 이야기가 모여 교회의 역사가 되었다. 이 책은 교회의 역사 속에서 사랑받은 찬송을 소개하여 당시를 살았던 신앙인들의 삶과 신앙의 자리로 독자를 초대한다.
탁지일
장로회신학대학교(Th. B.)와 연세대학교 대학원(Th. M.)을 졸업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신학대학원(M. Div.)과 버클리연합신학대학원(M. A.)을 거쳐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St. Michael’s College에서 교회사(Ph. D.)를 전공했다. 기독교이단과 부산경남지역 교회사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면서 현재 부산장신대학교 신학과교수, 월간「현대종교」 이사장 및 편집장을 맡고 있다.
이은하
배재대학교(B. A.)를 졸업하고 미국 골든게이트침례신학대학원(M. A.),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음악대학(Advanced Certificate in Performance)에서 교회음악과 오르간을 전공했다. 찬송 반주를 소명으로 알고 살아왔으며, 현재 장유대성교회에서 오르간 반주를 하고 있다.
프롤로그_“이것이 나의 찬송이요, 이것이 나의 간증일세!”
1. 초대교회의 신앙과 신학_그리스도를 위한 찬송
1)순교와 금욕주의 ·<성부 성자와 성령> / 2)이단논쟁과 신학의 정립 ·<찬란한 주의 영광은>
2. 중세교회의 교황제도와 수도원운동_교회를 위한 찬송
1)교황제도와 십자군 원정 ·<하나님 아버지 어둔 밤이 지나> / 2)수도원운동과 신비주의 ·<오 거룩하신 주님>
3. 종교개혁과 신앙고백_믿음을 위한 찬송
1)종교개학과 결혼 ·<내 주는 강한 성이요> / 2)종교개혁 신앙고백 ·<날 구속하신>
4. 경건주의운동과 선교_말씀을 위한 찬송
1)말씀과 회개 ·<천부여 의지 없어서> / 2)말씀과 선교 ·<주 예수 넓은 품에>
5. 조선에 온 선교사들_헌신을 위한 찬송
1)부르심과 응답 ·<어디든지 예수 나를 이끌면> / 2)오직 예수 ·<멀리멀리 갔더니>
6. 구한말의 위기_소망을 위한 찬송
1)불확실한 세상, 신실한 삶 ·<하늘 가는 밝은 길이> / 2)평양대부흥운동 ·<예수 나를 위하여>
7. 일제강점시의 고난_회복을 위한 찬송
1)민족과 함께하는 교회 ·<삼천리반도 금수강산> / 2)신사참배와 한국교회 ·<어서 돌아오오>
8. 한국전쟁의 아픔_평화를 위한 찬송
1)한국전쟁으로 인한 교회의 시련 ·<눈을 들어 하늘 보라> / 2)신사참배로 인한 교회의 분열 ·<주는 나를 기르시는 목자>
9. 새 하늘과 새 땅을 향하는 한국교회_화합을 위한 찬송
1)불확실한 세상 ·<어둔 밤 마음에 잠겨> / 2)다문화사회 ·<기대>
에필로그_“나 사는 동안 끊임없이 구주를 찬송하리로다!”
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