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은 다른 위성에 살다가 지구로 이민해온 사람들이 아니다. 장애인은 우리의 형제자매이자 우리의 이웃으로 늘 함께 살아온 사람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조건이 다르다는 이유로 장애인을 차별하고 소외시키며 모든 사회참여의 기회를 봉쇄해온 것이 사실이다. 그들을 위해서 교회나 사회가 베푼 시책은 동등한 인권과 존엄성을 가진 인격체로 대하기보다는, 나와는 격이 다른 동정의 대상으로 대접해온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교회가 하나님 앞에서 모든 인간이 평등하다는 기본 입장을 가지고, 이 문제를 풀어가기 위하여 신학적인 접근을 시도하는 것은 교회의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2011년 10월에 세계교회협의회(WCC)와 공동으로 신학자와 장애 분야의 담당자들과 함께 장애인신학에 대한 포럼을 가졌고, 그때 발표된 원고들이 모아 『장애 너머 계신 하나님』으로 출간하였다. 장애인신학의 역사와 전망부터 예언서, 신·구약, 교회사 등을 통해 본 장애인목회의 방향과 과제 등을 살핀 이 책은 한국교회 내에서 장애인신학의 올바른 정립에 기여할 것이며, 장애인신학의 유효한 교육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 장애인소위원회
김해용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졸업
현/ 기독교사회복지엑스포 추진본부장
현/ 사랑의교회 협동목사
현/ 한국장애인사역연구소 소장
박태식
서강대 영어영문학과와 동 대학원 종교학과 졸업
독일 괴팅엔 대학교 신학부 졸업(신학박사)
대한성공회 사제
현/ 장애인센터 ‘함께사는세상’ 지도신부
배융호
장로회신학대학 신학대학원 졸업
성공회대학교 시민사회복지대학원 수료
현/ (사)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사무총장
현/ 국토해양부 장애물없는생활환경인증 심의위원
현/ 장애인차별금지추진연대 상임집행위원
현/ 대한변호사협회 장애인권소위원회 위원
현/ 서울시 청계천시민위원회 위원
안교성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및 동 대학원 졸업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대학원 신학부 석 박사과정
졸업(철학박사)
전/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파송 몽골선교사 및
세계선교부 총무
현/ 장로회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유경동
감리교신학대학교 신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미국 벤더빌트 대학교 졸업(철학박사)
현/ 감리교신학대학교 기독교윤리학 교수
이범성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독일 마부룩 대학교 수학
독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졸업(신학박사)
전/ 독일 뷔르템베르크 주교회 선교동역자(에큐메니칼 전임강사)
현/ 동부제일교회 장애인선교회 지도목사
현/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와 디아코니아학 교수
채은하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호주 멜본 신학대학교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신학박사)
현/ 효자동교회 교육목사
현/ 한일장신대학교 구약학 교수
최대열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졸업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졸업
연세대학교 대학원 신학과 졸업(철학박사)
현/ 명성교회 부목사-장애인선교부 담당
현/ 예장 발달장애인선교연합회 회장
현/ 예장 장애인복지선교협의회 회장
발간사_『장애 너머 계신 하나님』을 출간하며
서문_장애인과 함께 가는 세계교회협의회의 역할
장애인신학의 역사와 전망_최대열 목사|장애인복지선교협의회장
예언서에서 본 장애인의 회복과 미래_채은하 교수|한일장신대학교
신약의 관점으로 바라본 장애인신학_박태식 신부|장애인센터 ‘함께사는세상’ 지도신부
교회사를 통해 본 장애인신학_안교성 교수|장로회신학대학교
삼위일체신학과 장애인신학_유경동 교수|감리교신학대학교
장애인목회의 방향과 과제_김해용 목사|한국장애인사역연구소 소장
발달장애인과 교사의 영성_이범성 교수|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장애인권리협약과 한국교회의 역할_배융호 목사|(사)장애물없는생활환경시민연대 사무총장
유엔 장애인권리협약에 대한 독일교회의 입장_헨리 폰 보세 목사 | 이범성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