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서에서 요한복음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진했다. 역사적 예수의 문제 등이 주로 공관복음서 중심으로 논의되었기 때문에, 18세기 이후까지 요한복음보다는 공관복음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불트만, 케제만, 슐츠 등 학자들에 의해 요한복음 연구가 활발해졌다. 요한복음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학자는 불트만인데, 그의 종교사학적 연구는 요한복음의 사상적 배경을 영지주의에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문학비평적 연구는 현재의 요한복음 본문의 구성과 배열을 크게 흐트러지게 하였다. 그러나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로빈슨 등은 불트만의 종교사학적·문학비평적 연구에 대항하여 그 방향을 다시 전통적인 입장으로 되돌아가게 하였다. 요한복음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게 된 것이다.
이 책은 요한복음의 전체적인 구조에서 볼 때 서론이 차지하는 위치가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며, 요한복음 서론에 진술된 그리스도론을 성육신을 중심으로 하여 성육신 이전의 로고스, 성육신의 그리스도, 성육신 이후의 '독생자'를 잘 설명해준다.
공관복음서나 바울서신에 비해 그 중요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요한복음 서론의 문학적 구조와 신학적 의미에 대해 다루는 이 책은 요한복음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세계 상황에 발맞춰 국내에서도 그 연구가 활발히 일어나도록 하는 불씨가 될 것이다.
나채운
-학력
고려대학교 법과대학(법학사)
장로회신학대학 본과(신학석사)
경북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문학석사)
미국 피린스턴신학대학원(신학석사)
미국밴더빌트대학교-계명대학교 대학원(신학박사)
미국 노스웨스트 기독교대학교(명예문학박사)
-주요 경력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대학원장
대한성서공회 성서 번역, 개정, 문장위원
한국찬송가공회 가사전문위원, 신작증보판 작사 3편
광나루문인회 창립, 초대 2대 회장
전국 기독교대학교 대학원장협의회 창립, 초대회장
모스크바장로회신학대학 등 4개국 신학대학 객원교수
교회 어린이 찬송가 가사 전문위원, 작사 7편
장로회(통합측) 총회 기독교용어연구위원회 전문위원
주기도 사도신경 새번역위원회 전문위원
한국찬송가작가초연합회 공동회장(가사)
머리말
일러두기
Ⅰ. 서론의 전체적 성격
1. 요한복음 서론의 위상 / 2. 요한복음 서론의 구성문제 / 3. 요한복음의 서론과 성육신
Ⅱ. 성육신 이전의 그리스도-로고스로 계심
1. 로고스 개념의 배경 / 2. 요한의 로고스 개념
Ⅲ. 성육신의 그리스도-인간이 되심
1. 육신의 개념 / 2. “성육신”의 의미 / 3. 성육신에 대한 증언
Ⅳ. 성육신 이후의 그리스도-‘독생자’로 나타내심
1. 요한복음과 그리스도의 계시성 / 2. 독생자의 그리스도론적 의미 / 3. 독생자의 영광 / 4. 성육신과 그에 대한 반응
Ⅴ. 결론
1. 유일한 사건으로서의 성육신 / 2. 유일한 신분으로서의 ‘독생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