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신학의 해방

저자 박봉랑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1991-06-15
규격 크라운판(양장) | 844쪽
정가 19,000원
판매가 17,1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절판

절판된 도서입니다.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저자가 20년에 걸쳐서 완성한 역작이다. 1945년부터 1985년까지 한국 개신교가 겪었던 여러 가지 신학 사건들과 신학사조를 분석하고 해석, 정리하였으며, 아울러 그러한 과정 속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과제 등을 소상하게 소개하고 있다.




박봉랑
일본신학교(현 동경신학대학) 본과 수학, 한신대학을 졸업하였다. 미국 켄터키주 에스버리신학교에서 신학사(B. D.), 매사추세츠주 하버드대학교에서 신학석사(S.T.M.), 신학박사(Th. 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한신대학 명예교수로 있다. 저사로는 『기독교의 비종교화』(1976), 『신의 세속화』(1983), 『교의학 방법론(Ⅰ)』(1986, 『교의학 방법론(Ⅱ)』(1987)이 있으며, 역서로는 『희망의 신학』(몰트만),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등이 있다.




서론
Ⅰ. ‘해방 40년의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존과 현대 신학사조의 신학적 해명’을 시도하면서
머리말
1. 해방 40년의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존과 현대 신학사조
2. 선교 2세기를 향하는 한국 개신교 신학을 위하여

Ⅱ. 이 책에서 다루려고 하는 것들: 문제, 구조 및 전개 방법

제1부 신학의 해방

Ⅰ. 1947년-1953년에 한국 장로교회 안에서 일어난 교리적 분쟁과 그 신학적 과제: 성서 영감론
머리말
1. 분쟁의 기원, 문제와 경과 및 분쟁의 결과, 그 의의
2. 분쟁의 신학적 문제: 두 상이한 ‘성서 영감설’
3. 한국 교회의 신학적 과제로서의 성서 영감론, 그 문제와 프로그램
4. 역사적 교회의 문제와 과제로서의 영감
5. 분쟁에 관계된 참고도서

Ⅱ. 칼 바르트의 성서 영감론
1. 성서 영감론의 표준
2. 역사적 교회에 나타난 주요한 성서 영감관에 대한 바르트의 비판
3. 바르트의 성서 영감관
4. 성서의 영감과 하나님의 말씀
5. 영감과 성령의 역사
6. 결론과 전망: 바르트의 성서 영감론이 한국 장로교회의 성서 영감론 논쟁에서 갖는 의미

Ⅲ. 1947년-1953년에 한국 장로교 안에서 일어난 교리논쟁의 신학사적 의의
머리말
1. 자주적이며, 장로교의 복음적 신학으로서의 혁신을 지향한 ‘조선신학원’과 송창근 박사, 김재준 박사
2. 한국기독교장로회: 성격 및 신학적 과제
부록: ‘한국 개신교가 8·15해방과 함께 상속받은 신학의 계보’를 찾아서 - 인물을 중심으로

Ⅳ. 맺는 말: 하나의 거룩한 에큐메니칼 교회를 향하여

Ⅴ. 성서 영감론에 대한 참고문헌
사전들, 교리사, 교리들
영감에 관한 성서의 가르침: 랍비적 유대교, 희랍사상, 헬레니즘의 유대교
역사적 교회에 나타난 성서 영감론들
성서 영감에 관한 바르트의 책들과 논문들
바르트에 관한 책들
성서 영감론에 관계된 책들

제2부 20세기 전반의 지배적인 신학 사조

Ⅰ. 19세기 ‘신교 자유주의 신학’
1. 자유주의 신학이란 무엇인가?
2. 19세기 신교 자유주의 신학
3. 20세기 신학의 항거: 변증법적 신학의 일어남

Ⅱ. 복음적 신학: 칼 바르트
머리말
바르트는 누군가?, 그의 삶
복음적 신학의 수립
후기 바르트의 신학
그리스도 중심적 신학, 그 의미
맺는 말
참고도서: 바르트의 중요한 저서들과 해석들
문헌에서 보는 한국 개신교와 바르트의 신학의 만남

Ⅲ. 철학적 신학: 폴 틸리히
머리말
삶과 신학의 성격
방법론적 혁신
‘질문’으로서의 인간의 존재
기독교의 이해: 케류그마의 상징화
결론과 평가
틸리히의 중요한 저서들과 해석서들
문허에서 보는 한국 교회와 폴 틸리히의 신학의 만남

Ⅳ. 케류그마 신학: 루돌프 불트만
루돌프 불트만의 케류그마 신학
불트만의 ‘비신화화론’과 그 비판
결론과 비판
불트만의 중요한 저서들과 해석들
문헌에서 보는 한국교회와 루돌프 불트만 신학의 만남

Ⅴ. 기독교 현실주의: 라인홀드 니버
니버의 사상적 위치
사상의 변천과 사회윤리
기독교 인간관의 수립
결론과 평가
니버의 중요한 저서들
문헌에서 보는 한국 개신교와 라인홀드 니버 신학의 만남

제3부 1963년에 한국 개신교 안에서 일어난 ‘기독교 토착화’ 논쟁

Ⅰ. 1963년에 한국 교회 안에서 일어난 ‘기독교 토착화’ 논쟁
머리말
1. 단군신화 논쟁
2. 그때의 논쟁을 회고하며
3. 맺는 말: 반성과 전망
4. 1963년에 있었던 ‘기독교 토착화’ 논쟁에 관계된 논문들과 논쟁 이후의 문헌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