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신학은 본질적으로 해석학이다. 신학의 해석학적 본성은 신학의 첫 번째 과제가 성서 텍스트와 기독교의 전통에 대한 해석에 있다는 사실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기독교 신학, 특히 조직신학은 성서 텍스트와 기독교 전통을 오늘의 상황을 알리기 위해서 해석한다. 다시 말하면 기독교 신학은 성서 텍스트를 해석함으로 오늘의 개인의 실존과 교회와 사회의 현실을 새롭게 이해하고 변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기독교 해석학에 대해 통전적 안목을 제시하는 이 책은 2008년 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로 선정되었다.
윤철호
장로회신학대학교(Th. B., M. Div.), 프린스턴 신학교(Th. M.), 노스웨스턴 대학교(Ph. D.)에서 수학했다. 현재 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중에 있다.
저서로는 『예수 그리스도 하권』(1998), 『성서 · 신학 · 설교: 설교형식으로 풀어쓴 조직신학 강의』(2000), 『예수 그리스도 상권』(개정판, 2003), 『현대신학과 현대개혁신학』(2003), 『통전적 신학』(공저, 2004), 『21세기 한국교회와 하나님 나라를 위한 실천신학』(20006), 『세계와의 관계성 안에 계신 하나님』(2006) 등이 있다.
제1부 해석학의 정의, 과제, 역사
1장 해석학의 정의와 과제
2장 성서해석의 역사에 대한 개관-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
제2부 철학과 해석학
3장 철학적 현상학-에드문트 후설을 중심으로
4장 종교현상학
5장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
6장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제3부 신학과 해석학
7장 불트만의 실존론적 성서해석학
8장 바르트의 신학적 해석학
9장 신학적 언어론으로서의 신해석학
10장 역사해석학
제4부 탈근대적 기독교 해석학의 패러다임들
11장 리쾨르의 텍스트 해석학
12장 리쾨르의 성서해석학
13장 스킬레벡스의 인식론과 해석학
14장 여성신학의 성서해석학
15장 상호 신뢰적-비판적 대화를 통한 지평융합을 지향하는 페미니스트 성서해석학
16장 기독교 텍스트(전통)에 대한 해석학으로서의 조직신학
제5부 통전적인 탈근대적 기독교 해석학
17장 비판적 회복의 해석학
18장 리쾨르 이후의 통전적인 탈근대적 성서해석학-산드라 M. 슈나이더스를 중심으로-
19장 이야기 해석학과 기독론-역사적 예수와 신앙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20장 메타비판적 탈근대주의 해석학
제6부 해석학과 토착화
21장 한국 토착화 신학에 대한 해석학적 고찰
22장 간문화적 세계관을 향한 조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