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교회가 세속적인 영광과 호사를 누리고, 세속적인 명예와 훈장을 수여하는 것이 옳은 일이 될 수 있는가? 교회가 필요 이상의 재물을 축적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인가? 교회가 세속의 권력과 결탁해 그 어떤 세속적 단체나 정당, 문화 단체나 사회 경제적 권력 집단으로 전락하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한스 큉의 지적과 같이 교회의 형태는 변화할 수 있으나 교회의 본질은 변할 수 없다. 오늘날 여러 측면에서 변질된 교회의 모습과 교회의 위기를 말하고 있다. 우리는 무엇이 변질되었으며 그 위기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를 물어야 한다. 그리고 답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다시 세상에서의 교회의 진정한 본질이 무엇인지 묻는 작업이 될 것이다.” - 저자 머리말 중에서 이 책은 세상 가운데 존재하는 교회가 변화하는 세상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대하면서 어떤 정체성을 가져야 하며 그 본질과 사명은 무엇인지를 연구하고 대답하고 있다. 19명의 필자는 다양한 조직신학자들의 교회론을 연구하고 정리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리스도인의 삶의 터전인 교회는 세상 가운데 존재하기에, 모든 분야에서 급속하게 변하고 있고 세계의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세계 속의 교회는 정체성과 본질 그리고 사명을 이루기 위한 발빠른 대처가 요구되고 있다. 교회론은 세상의 지속적인 변화에 필연적으로 예속되기 때문에 항상 새롭게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계속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교회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해 자신을 끊임없이 변화시켜야 한다. 교회는 단순히 개인의 필요나 요청을 가지고 모인 개인들의 집합체가 아니며 교회 자신만을 위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은 교회의 형태는 변할 수 있으나 교회의 본질은 변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오늘날 무엇이 변질되었으며 그 위기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묻고 그 답을 찾는 작업을 통해 세상에서의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 묻는 작업을 하고자 한다. 이 책은 한국조직신학회가 대표적인 조직신학적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토론한 주제와 문제들을 모아서 출판된 기획시리즈의 1권이다. 한국조직신학회는 계속해서 신론, 기독론, 삼위일체론, 성령론, 인간론, 구원론, 종말론 등의 조직신학적 주제들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출판할 예정이다.
김균진 한신대학교(B. D.), 연세대학교 대학원(M. A.),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기독교 신학 제1, 2권』(2009) 외 정홍열 성균관대학교(B. Eng.), 장로회신학대학교(M. Div., Th. M.), 독일 Erlangen Univ.(Dr. theol),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교수 『사도신경 연구』(2005) 외 황재범 계명대학교(Th. B., Th. M.), 미국 뉴욕 Union Theological Seminary(S. T. M., Ph. D), 계명대학교 교수 『12신조의 신학적 분석』(2008) 외 최주훈 루터신학대학교(B. A.), 한신대 신학대학원(M. Div.), 루터대 신학대학원(M. Div.), 독일 Uni. Regensburg(Ph. D.), 루터대학교 포스닥 Das Konzept der Ur-Offenbarung bei Paul Althaus(2006) 최윤배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전자공학과(E. B.), 연세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과(E. M.),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대학원(M. Div., Th. M), 네덜란드 개혁신학대학교(Drs.), 네덜란드 기독교개혁신학대학교(Dr. theol.),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그리스도론 입문』(2009) 외 김영선 목원대학교(Th. B.), 감리교신학대학교(Th. M), 영국 University of London(M. Th., Ph. D.), 협성대학교 교수 『존 웨슬리와 감리교 신학』(2002) 외 김승철 목원대학교 신학과(B. A.), 미국 Drew Theology School(M. Div., S. T. M.), 미국 Drew Graduate School(Ph. D), 목원대학교 교수 『역사적 슐라이어마허 연구』(2004) 외 김명용 서울대학교 영문과(B. A.), 장로회신학대학교(M. Div., Th. M.), 독일 튀빙엔대학교(Dr. theol.),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칼 바르트의 신학』(2007) 외 이신건 서울신학대학교 영문과(B. A.), 연세연합신학대학원(Th. M.), 독일 튀빙엔대학교(Dr. theol.),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조직신학입문』(1992) 외 최인식 서울대학교 영문과(B. A.), 독일 쾰른 대학교, 독일 베를린신학대학원(현, 훔볼트대학교, Dr. theol.),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예수와 문화』(2006) 외 정지련 연세대학교(B. A.), 감리교신학대학교(Th. M.), 독일 Marburg 대학, 스위스 Basel 대학(Dr. theol.), 감리교인천성서신학원 교수 『신학의 고전Ⅰ,Ⅱ』(2008, 역서) 외 신옥수 전남대학교(B. A.), 장로회신학대학교(M. Div., Th. M.), 미국 Prinstom Theological Seminary(Th. M.), 미국 Fuller Theological Seminary(Ph. D.),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조직신학: 하나님의 공동체를 위한 신학』(2003, 역서) 외 황덕형 서울신학대학교(B. A.),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 M.), 독일 보쿰대학교(Dr. theol.), 서울신학대학교 교수 『삼자적 임재』(2000) 외 장왕식 감리교신학대학교(Th. B., Th. M.), 미국 Garrett-Evangelical Seminary(M. T. S.), 미국 Claremont Gradyate School(Ph. D),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종교적 상대주의를 넘어서』(2002) 외 장윤재 연세대학교(B. A.), 미국 뉴욕 Union Theological Seminary(M. Div., M. Phil), 미국 뉴욕 Union Theological Seminary(Ph. D.),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세계화 시대의 기독교 신학』(2009) 외 정미현 이화여자대학교(B. A.), 이화여자대학원(M. A.), 스위스 바젤대학교(Ph. D.), 스위스 미션21여성과젠더데스크 의장, 『또 하나의 여성신학 이야기』 외 류장현 한신대학교(Th. B.), 한신대학교 대학원(Th. M.), 독일 Humboldt Uni. zu Berlin(Th. D.), 한신대학교 교수 『한국의 성령운동과 영성』(2002) 외 전현식 연세대학교(B. A.), 감리교신학대학교(Th. B., Th. M.), 미국 Southern Methodist University(M. Div.), 미국 Northwestern University(Ph. D.) 연세대학교 교수 『에코페미니즘과 신학』(2003) 외 허호익 연세대학교(Th. B.),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Th. M.),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M. Div.), 연세대학교(Th. D.), 대전신학대학교 교수 『길선주 목사의 목회와 신학사상』(2009) 외
머리말 집필자 소개 1. 교회론의 성서적 신학적 기초 / 김균진 2. 아우구스티누스의 교회론 / 정홍열 3.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회론 / 황재범 4. 마틴 루터의 교회론 / 최주훈 5. 존 칼빈의 교회론 / 최윤배 6. 존 웨슬리의 교회론 / 김영선 7.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의 교회론 / 김승철 8. 칼 바르트의 교회론 / 김명용 9.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 / 이신건 10. 폴 틸리히의 교회론 / 최인식 11. 한스 큉의 교회론 / 정지련 12. 위르겐 몰트만의 교회론 / 신옥수 13.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교회론 / 황덕형 14. 과정신학의 교회론 / 장왕식 15. 남미 해방신학과 교회론 / 장윤재 16. 여성신학과 교회론 / 정미현 17. 민중신학과 교회론 / 류장현 18. 생태신학과 교회론 / 전현식 19. 한국 교회의 교회론 / 허호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