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관계신학

관계의 관점에서 본 하나님 ․ 인간 ․ 세계 이해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김영선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12-10-20
규격 신국판 | 416쪽
ISBN 978-89-511-1489-2 93230
정가 16,500원
판매가 14,85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오늘날 삼위일체론과 생태학에 대한 우리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관계’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관계의 신학’에 관한 책들이 발간되고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관계신학이 현대신학의 한 장르나 영역으로 자리하고 있지 않지만 저자는 이 책에서 관계의 중요성과 관계신학이라는 장르를 소개한다. 관계신학은 모든 신학적 진리를 ‘관계’라는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는 신학이다.
저자는 이 책을 집필함에 있어서 몇 가지 자극이 있었다고 말한다. 첫 번째 자극은 삼위일체론의 자극이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관계성, 공동체성이 그 출발점을 제공하였다. 두 번째 자극은 강의를 통한 학생들의 반향으로부터 왔다. 학생들은 관계신학에 근거한 참된 공동체를 세우고 그 공동체의 결속을 주문하였다. 세 번째 자극은 시대적 자극이다. 오늘날 모든 사람은 각자의 전공과 전문 분야 상호 간의 협력 없이 발전적이고 창의적인 일을 기대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교회적인 자극이 있었다. 그리스도인은 교회에서 목사와 교인 간의 관계, 교인과 교인 간의 관계 등 다양한 관계를 갖게 된다. 이 책은 이런 자극들을 통해 도출된 삶의 현실들을 관계적 관점에서 해석한다.
관계신학을 제시한 신학자들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저자는 관계신학이라는 장르를 현대 신학계에 내어놓는 심정으로 이 책을 집필하였다고 전한다.




김영선

목원대학교와 감리교신학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영국 런던대학교(Universi쇼 of London)에서 조직신학을 전공하여 신학석사와 철학박사(M. Th., Ph. D.) 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장과 한국조직신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협성대학교 신학대학 조지신학 교수이며, 신학대학장과 웨슬리신학연구소 소장, 한국개혁신학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예수와 삼위일체 하나님』(1996), 『생명과 죽음』(2002), 『존 웨슬리와 감리교신학』(2002), 『사진으로 따라가는 존 웨슬리』(2006)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기독교신학입문』(1998), 『현대웨슬리 신학』(1998), 『존 웨슬리』(상, 중, 하)(1997-1999), 『기독교의 구성신학』(2000), 『판넨베르크의 조직신학』(2003), 『존 웨슬리 설교선집』(2005) 등이 있다.




머리말

관계성과 관계신학의 토대
제1장_근원적 관계와 관계성의 모델과 본질
1. 관계와 관계성의 근원적 모델 / 2. 근원적 관계와 관계성의 본질
제2장_관계신학이란 무엇인가?
1. 관계신학의 의미 / 2. 관계신학의 근원적 자리 / 3. 관계신학의 이해 시도
제3장_관계신학의 토대
1. 마르틴 부버의 관계철학 / 2. 에밀 브룬너의 만남의 신학 / 3. 루이스 쉐릴의 하나님 만남의 신학 / 4. 오토 볼노브의 만남의 교육학 / 5. 폴 틸리히의 상관관계 신학 / 6. 마조리 수하키의 관계론적 신학

제2부 관계신학의 이해
제4장_관계적 실체로서의 하나님
1. 삼위일체 하나님의 본질과 속성 / 2. 관계적 실재로서의 하나님 / 3. 웨슬리의 관계신학적 하나님 이해 / 4. 인격적 모델로서의 하나님
제5장_관계적 존재로서의 인간
1. 로널드 페에베언과 하인즈 코헛의 대상관계이론 / 2. 관계적 실존으로서의 인간 / 3. 키에르케고르와 판넨베르크의 인간 이해 / 4. 인간관계회복의 지침과 모델
제6장_관계 공동체로서의 세계
1. 살아 있는 유기체로서의 세계 / 2. 하나님의 성례전으로서의 세계 / 3. 지속가능한 세계 / 4. 세계 공동체 삶의 원리로서의 관계성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