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구약학자인 이환진 교수의 스승, 바룩 레빈 교수의 JPS 토라 주석 『레위기』를 바탕으로 쓰였다. 레빈 교수는 뉴욕대학교(NYU)에서 히브리 성서와 우가릿어 문학 그리고 북서방 셈어 문헌을 가르친 히브리어 실력자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레빈 교수의 학문적 성과를 우리말로 풀어내도록 노력하며 특히 각 히브리어의 뜻이 어떤 영역으로 확대되고 또 번역될 수 있는지에 관심을 기울였다. 그리고 유대교 문헌은 어떻게 레위기 본문을 읽어왔는지도 살펴보았다.
이 책에서 주목할 점이 또 있는데 그것은 저자가 한국과 중국, 일본의 성경을 비교 분석하여 정리했다는 점이다. 각국의 성경은 어떤 용어를 사용하며 그 용어들은 어떻게 같고 다른지를 따져본 것이다. 이를 위해 저자는 “한·중·일 성경의 성(聖) 법전 용어 비교”를 부록으로 수록했고, 각주에서는 각 성경의 영향 관계를 설명했다.
레위기를 바라보는 안목을 넓혀주는 이 책은 대한기독교서회 창립 100주년 기념주석 레위기 부분의 두 번째 책으로, 레위기 17장에서 27장까지의 본문인 "성결법전“(Holiness Code)을 주석하였다.
이환진
감리교신학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뉴욕 유니온신학대학원(S.T.M.)에서 공부하였으며 미국 유대교신학대학원을 거쳐 미국에 있는 뉴욕대학교(NYU, Ph. D.)를 졸업했다.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 구약학 교수이다.
쓴 책으로는 대한기독교서회에서 펴낸 『악을 심고 잘 될 리 없죠 선을 심으면 참된 사랑이 돌아옵니다』(2012)와 『히브리 가락 히브리 노래 히브리 성서』(대한기독교서회, 2011)와 『시편 II』(대한기독교서회 창립100주년 기념주석, 2010)가 있다. 이외에도 『구약성서 속에서 노닐다』(신앙과 지성사, 2012)와 『우가릿의 바알』(한모임, 2005)이 더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19세기와 20세기의 중국어 성서”(민영진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2)가 있다. 번역한 책으로는 『모세오경 미드라쉬의 랍비들의 설교』(한국기독교연구소, 2008)가 있고 번역한 성경으로 『시편 풀님』(한모임, 2005)과 『현대어 성경』(성서원, 1992)(공역)이 있다.
간행사 / 출판에 즈음하여 / 일러두기 / 히브리어·헬라어 표기 통일안 / 성서책명 / 약자표 / 구약시대의 연대표 / 머리말 / 레위기(Ⅱ) 일러두기
Ⅱ. 본문 주석
1. 피는 생명이라(17:1-16)
2. 피붙이 살붙이(18:1-30)
3. 거룩하라(19:1-37)
4. 몰렉 제의와 가족 관계(20:1-27)
5. 사제가 지켜야 할 규정(ⅰ)(21:1-24)
6. 사제가 지켜야 할 규정(ⅱ)(22:1-33)
7. 야훼의 절기(23:1-44)
8. 회막 물품(24:1-23)
9. 안식년과 희년(25:1-55)
10. 복과 화(26:1-46)
11. 성전세(27:1-34)
Ⅲ. 부록
1. 페니키아어 목록 새김글(RES 367)
2. 퓨닉어 예물 목록 새김글(KAI 69, KAI 74, KAI 75)
3. 쿰란 공동체의 『정결 규정』(4QTohorot A[=4Q274]ⅰ1)
4. 레위기 15장의 여성의 생리에 대하여
5. 한·중·일 성경의 성(聖) 법전 용어 비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