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한국교회에 여성신학이 수용된 이후 여성신학이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상세히 알려준다. 특히 교회여성들의 삶의 현장에서 깊이 관심을 가졌던 주제들은 어떤 것이며 여성신학을 알게 된 이후 한국교회 여성들이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려고 하였던가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나뉜다. 1부 ‘ 성서와 여성’은 성서가 정말 여성해방의 기반이 되는 책인가에 대한 물음에 대한 답이며 2부 ‘여성의 삶과 여성신학’은 여성의 삶에 영향을 변화를 주는 여성신학적 새로운 삶의 원리들을 모색한다. 3부 ‘한국교회 여성과 여성신학’은 한국 기독교의 전통에서 여성들의 위치와 지금의 위상, 그리고 앞으로 모색해야 할 교회여성의 모습과 여성신학적 목회 이상들을 담고 있다.
최만자
연세대학교 신학대학 신학과(신학사)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신학석사-구약신학)과 샌프란시스코 신학대학(목회학 박사[D. Min])에서 수학했다. 아시아여성신학교육원 이사장, 아시아기독교여성문화연구원 원장, 한국여신학자협의회 공동대표, 한국여성신학회 회장, 대한YWCA연합회 실행위원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새길기독사회문화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새하늘 새땅 새여성』(공저, 생활성서사)가 있으며 역서로는 『성서에 나타난 여성의 희생-성서의 여성신학적 재조명』(필리스 트리블-전망사)가 있다.
제1부 성서와 여성
1. 성서와 여성신학
2. 한국 그리스도교 여성의 경험에서 본 성서해석
3. 죽재의 “두 이야기의 합류”의 여성신학적 적용
4. 아시아 여성신학의 특성과 방법론
5. 한국여성신학-그 신학 새로하기의 어제와 내일
제2부 여성의 삶과 여성신학
1. 여성 원리, 공존의 윤리, 미래의 대안
2. 가부장적 모성을 넘어서서
3. 여성신학으로 풀어 보는 성 이야기
4. 새로운 삶의 날개 달기-이혼, 그 후의 새 삶을 향하여
5. 아시아 기독교 여성의 영성
6. 여성신학의 이해
제3부 한국교회여성과 여성신학
1. 한국 무속에 대한 여성신학적 해석
2. 한국 기독교 전통과 여성의 영성
3. 21세기 주체문화로서의 한국교회 여성문화를 위하여
4. 대안목회로서의 여성목회
5. 21세기에도 위계적 질서의 극복을 위하여 고민해야 하나
6. 화해와 치유로 공존하는 새천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