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교육의 비판적 성찰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강희천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1999-02-26
규격 신국판양장 | 416쪽
ISBN 89−511−0302−1 93230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기독교교육학의 한 연구 방법인 ‘비판적 성찰’을 다룬 책이다. 저자는 ‘비판적 성찰’의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이전의 기독교교육 형태가 재구될 필요성을 밝힌다. 기독교교육의 내용과 과정을 창의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도움이 될 다양한 자료들이 실려 있다.




강희천
연세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하버드대학과 옥스퍼드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에서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면서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소장도 역임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교육사상』, 『기독교교육사』, 『연민의 개념과 기독교교육』 등의 다수가 있다.




제1장 기독교교육과 비판적 성찰
Ⅰ. 머리글
Ⅱ. 비판적 성찰의 개념 정의
1. 소원화와 재구성
2. “추론-기억-상상”의 과정
3. 비판적 상관관계의 규명
Ⅲ. 비판적 성찰의 유형 분류
1. “기독교 전통”과 “일반 학문”(문화)사이의 담론
2. “교회”와 “사회”의 프락시스적 관련성
Ⅳ. 맺는 글
1. 비판적 성찰에 관한 전망
2. 한국교회와 비판적 성찰

제2장 기독교 교육과정에 관한 비판적 성찰
Ⅰ. 머리글
Ⅱ. 교육과정의 연구 유형
1. 전통주의적 입장
2. 개념-경험주의적 입장
3. 재개념주의적 입장
Ⅲ. 기독교 교육과정의 재구성
1. 기독교교육 목적·목표의 설정
2. 기독교교육 내용의 선정과 조직
3. 기독교 교육과정의 자료 개발
4. 기독교 교육과정의 평가
Ⅳ. 맺는 글
부록: 미국 기독교 교육과정의 변천과 CE: SA/100

제3장 예전과 기독교교육
Ⅰ. 머리글
Ⅱ. 예전에 관한 현대적 이해
Ⅲ. 예전에 관한 개괄적 고찰
1. 예전의 개념 정의
2. 예전의 구성 요소
3. 예전의 형태 변화: 역사적 고찰
Ⅳ. 예전적 종교교육 모형
1. “신앙공동체-문화화” 모형
2. “Mysterion-Sacramentium” 모형
3. “공유적 실천” 모형
4. “통전적” 모형
Ⅴ. 맺는 글: 한국교회의 예전과 그 교육적 기능
부록: 예전의 주요 형태로서의 카테케시스

제4장 영성과 기독교교육
Ⅰ. 머리글
Ⅱ. 영성의 개념 정의
1. 영성에 대한 전통적 이해
2. 영성에 대한 현대적 이해
Ⅲ. 영성훈련의 전통과 유형 분류
1. 영성훈련의 대표적 형태
2. 영성훈련의 대표적 유형
Ⅳ. 영성훈련에 관한 비판적 논의
1. 영성훈련의 한계
2. 영성훈련과 영성교육
Ⅴ. 영성교육의 특징과 모형
1. 영성교육의 특징
2. 영성교육의 한 모형
Ⅵ. 한국교회의 영성교육
1. 영성교육의 목적·목표
2. 영성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 과정
3. 영성교육 참여자의 사회 문화적 배경
4. 영성교육의 교사상
Ⅶ. 맺는 글

제5장 여성과 기독교교육
Ⅰ. 머리글
Ⅱ. 여성에 관한 연구 유형
1. 여성심리학적 연구
2. 여성신학적 연구
Ⅲ. 여성에 관한 여성심리학적 이해
1. 여성의 인식 형태
2. 여성의 도덕 판단 형태
Ⅳ. 여성에 관한 여성신학적 조명
1. 남녀 평등적 패러다임
2. 여성상 회복과 재구성
3. 여성의 자아긍정
Ⅴ. 여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1. 교육 목적(목표)의 정당성
2. 교육과정의 타당성
3. 교수-학습 과정의 적절성
4. 교육 구조의 효율성
Ⅵ. 맺는 글

제6장 기독교교육에서의 갈등 현상
Ⅰ. 머리글
Ⅱ. 갈등의 개념과 유형 분류
1. 갈등의 “원인”을 기준으로 한 분류
2. 갈등의 “상황”을 기준으로 한 분류
3. 갈등의 “현상학적 특징”을 기준으로 한 분류
Ⅲ. 교육에서의 갈등 현상
1. 학습자간의 경쟁에서의 야기되는 갈등
2. 교육내용 선정에서의 야기되는 갈등
3. 사회변동을 위한 교육 구조에서의 갈등
Ⅳ. 기독교교육에서의 갈등 현상
1. 교육 목적(목표)설정에서의 갈등
2. 교육내용 선정에서의 갈등
3. 교수-학습 과정의 구성에서의 갈등
4. 교육 평가에서의 갈등
Ⅴ. 맺는 글: 창조적 갈등의 지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