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시대의 기독교교육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이 책은 기존 기독교교육의 개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디지털 시대 새로운 기독교교육의 전망을 모색하고 있다. 변화된 상황에 눈높이를 맞추는 기독교교육이야말로 하나님의 나라를 지향하는 바른 실천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손원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및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보스턴대학 교육목회연구소 객원연구원으로 일하기도 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및 교육대학원 강사와 서울기독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디지털환경과 기독교교육』, 『프락시스와 기독교교육과정』 등이 있다.
제Ⅰ부 기독교교육의 정체성
제1장 기독교교육의 개념
1. 머리말
2. 기독교교육 개념의 반성
3. 기독교교육의 개념
4. 맺음말
참고문헌
제2장 기독교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1. 머리말
2. 기독교교육학 연구의 어려움
3. 실천신학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
4. 사회과학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
5. 맺음말: 통합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
참고문헌
제3장 패러다임의 전환과 기독교교육
1. 머리말
2. 패러다임의 전환과 후기현대의 등장
3. 후기 현대적 상황과 경험
4. 한국 교회의 현주소와 새로운 기독교교육 패러다임의 요청
5. 한국 기독교교육의 패러다임의 전환
6. 맺음말
참고문헌
제4장 기독교교육 현장의 재범주화
1. 머리말
2. 기독교교육 현장의 의미
3. 기독교교육 현장에 대한 신학적 해석
4. 기독교교육의 현장들
5. 맺음말
참고문헌
제5장 초대교회의 기독교교육
1. 머리말
2. 『디다케』의 구조
3. 초대교회의 교육 내용으로서 『디다케』
4. 맺음말
참고문헌
제Ⅱ부 최근의 기독교교육 이론들
제6장 종교 수업 이론
1. 머리말
2. 종교 수업의 사회과학적 입장
3. 리의 종교 수업의 사회과학적 접근
4. 맺음말
참고문헌
제7장 신앙 공동체 이론
1. 머리말
2. 웨스터호프의 신앙 공동체 이론
3. 팔머의 공동체 유형과 진리 추구형 공동체
4. 맺음말
참고문헌
제8장 다중 지능 이론
1. 머리말
2. IQ에 대한 비판과 EQ, MI 이론의 등장
3. 다중 지능 이론의 이해
4. 다중 지능 이론과 기독교교육의 개선
5. 맺음말
참고문헌
제9장 영성적 접근
1. 머리말
2. 기독교교육에서의 영성 논의들
3. 영성의 의미
4. 기독교교육을 위한 영성의 원리
5. 기독교교육의 영성적 접근
6. 맺음말
참고문헌
제10장 프락시스 접근
1. 머리말
2. 교육 과정 이론의 프락시스 접근
3. 기독교 교육 과정의 테오프락시스 접근
4. 맺음말
참고문헌
제Ⅲ부 정보화 사회와 기독교교육
제11장 디지털 사회와 웹 기반의 공과 수업
1. 머리말
2. 디지털 사회의 비판적 성찰
3. 웹 기반 수업과 교수-학습 유형
4. 웹 기반 공과 수업 운영 모형
5. 맺음말
참고문헌
제12장 사이버 공간의 신학적 해석과 신학 교육
1. 머리말
2. 신학 교육의 재구조화
3. 사이버 공간의 신학적 해석과 신학 교육 현장의 재구성
4. 가상 공동체에서의 신학 교육의 방향
5. 맺음말
참고문헌
제13장 제7차 교육 과정과 기독교 학교
1. 머리말
2. 제7차 교육 과정의 성격과 교육 과정 이론의 배경
3.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기독교교육학적 비판
4. 제7차 종교 교육 과정의 비판적 성찰
5. 기독교 학교의 효율적인 제7차 종교 교육 과정의 운영
6.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