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개신교 교회교육

저자 한미라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5-05-10
규격 신국판(양장) | 464쪽
ISBN 89-511-0766-3 93230
정가 21,000원
판매가 18,9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품절

품절된 도서입니다.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한국인들은 개신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선교 120년의 역사, 전 인구의 21.6%를 차지하는 교세, 6만 6천 개의 교회, 12만 4천 명이 넘는 성직자 규모를 지닌 한국의 주요 종교 중 하나라고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개신교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가 되는 이유를 교회교육과 관련하여 통찰할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는 것 같다. 매 주일 오전, 전국에 있는 개신교 교회에서는 미래 한국을 이끌고 갈 어린세대들을 위한 영성, 인성 교육이 시작된다. 개신교 산하 약 28만 9천 여 개의 교육기관에는 총 166만 명의 어린이와 82만 8천 명의 중고생들이 학교에서는 경험해 보지 못하는 아주 특별한 통합적 인성 교육을 그것도 무상으로 수혜 받고 있다.
이 책의 의도는 범국민적인 차원에서 개신교에 대한 새로운 이해의 지평을 여는 데 있으며, 공교육에서도 감당하기 힘든 차세대들을 위한 인성 교육을 그것도 주말과 방학을 이용하여 연중무휴,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개신교 교회학교의 존재와 교육의 효과를 널리 알리는 것이다.




한미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State University of New York/Buffalo에서 철학박사(Ph. D.), Harvard University, The Divinity School에서 신학석사(M. T. S., 1993) 학위를 받았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M, ED.)했다. 현재 대신감리교회 소속 목사이며 호서대학교 신학부 기독교교육학 교수,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이사/영문저널 편집위원장, 한국기독교대학 신학대학원 협의회 총무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여자가 성서를 읽을 때』(대한기독교서회),『신앙과 지성』(공저, 1998), 『국가와 민족 공동체 위기를 극복하는 여성』(공저, 1999), 『정의로운 새 세상을 만들어가는 여성』(공저, 2000), 『평화의 새 시대를 이끌어가는 여성』(공저, 2001), 『생명의 새 시대를 이끌어가는 여성』(공저, 2002), 『디지털 환경과 복음』(공저, 2002), 『디지털 환경과 기독교교육』(공저, 2002) 등. 역서 『나눔의 교육과 목회』(역서, Thomas Groome"s Sharing Faith, 1997). 논문 “종교교육을 위한 새 교육체제 개발”(학술진흥재단 지원, 1989), “불임 치유와 생명윤리문제”(학술진흥재단 지원, 1995), “기독교교육 덕목으로서의 생명윤리”(2000), “체제론적 세계관과 종교교육”(2002) 등이 있다.




제1장 서론
1. 한국 교회의 위상 : 영광과 비판의 공존
2. 한국 사회 변화와 개신교의 성장
3. 현대 개신교 교회의 제 문제
4. 본서의 연구 목적

제2장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 문제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3. 연구의 범위와 한계
4. 용어의 정의

제3장 한국 개신교 교회교육의 역사적 변천
1. 개신교 교회교육사의 시대 구분
2. 제1기 : 비공식적 주일학교 운동기(1888-1905)
3. 제2기 : 주일학교 연합기구 결성기(1905-1930)
4. 제3기 : 주일학교 교육의 분화기(1930-1945)
5. 제4기 : 교회학교로의 성장기(1945-1985)
6. 제5기 : 교회학교로의 성숙기(1986년-현재)

제4장 한국 개신교 교회교육의 현황 분석
1. 개신교 교회교육의 규모
2. 개신교 교회학교 제도
3. 교회학교 교육과정 및 방법
4. 교회학교의 교사교육
5. 교회학교 행정 및 재정

제5장 교회교육의 미래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1. 왜 시스템 이론인가?
2. 신학적 관점에서 본 체제
3. 체제론적 세계관의 특징
4. 체제로서의 교회교육 : 교회학교는 체제인가?
5. 체제적 교회교육의 모형

제6장 종합 및 결론
교회학교 위기 극복을 위한 두 가지 원칙과 다섯 가지 방안
1. 종합
2. 교회학교 위기 극복을 위한 두 가지 원칙과 다섯 가지 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