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우리의 예배’를 창출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다. 예배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부분에 대해 방대한 실물 자료와 함께 상세한 해설을 담아냈다. 한국 교회의 토착적인 예배 전형을 추구하는 예배 인도자에게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자료들이다.
박은규
서울감리교신학대학을 졸업하고 감리교회 남부연회에서 목사안수를 받았다. 미국 남감리교대학교에서 신학석사를, 에머리대학교에서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미국인교회 및 한인교회 목사, 미연합감리교회 선교사를 거쳐, 목원대학교 교목실장, 대학원장, 신학부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동 대학 실천신학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예배의 재구성』, 『기독교입문: 기독교 예배의 독특성』(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교회성장학』(맥가브런/헌터), 『교역관리론』(린그렌/쇼쳐크)가 있다. 논문으로는 “목회자의 전문성 문제”, “ 본회퍼의 교회론 연구”, “어린이 예배의 갱신” 등이 있다.
제1장 예배에서의 상징의 재발견
상징의 중요성
상징적 표현의 위험성
효과적인 예배를 위한 상징의 적합한 활용
기독교인이 사용하는 상징들
제2장 세례의 의미와 효과적 실행
세례의 의미
유아세례의 의미
세례를 효과적으로 베푸는 길
제3장 어린이 예배의 문제 진단 및 갱신 방안
어린이 예배의 실상과 문제점
어린이 예배의 갱신 방안
제4장 새로운 결혼예배를 지향하여
들어가는 말
결혼예배의 이론적 근거
결혼예배 설정 지침
결혼예배의 새로운 순서, 해설, 예문
새로운 결혼예배 설교 자료
제5장 장례예배의 재구성
들어가는 말
장례예배의 목적
장례예배의 기본 구조
장례예배의 실제
제6장 의미 있게 예복을 입는 길
예복 착용의 변천과 문제들
의미 있는 예복 착용의 이론적 근거
의미 있는 예복의 발견과 그 토착화의 길
제7장 예배음악의 재발견과 재구성의 방향
들어가는 말
예배음악의 기본 원칙
예배음악 유산의 재발견과 재구성의 문제
예배음악의 재구성
부록: 예배의 재구성을 위한 종합 자료
교회력에 따른 52주 예배 자료
특별 예배 모음
성찬을 나눌 때 권면하는 말
예배 평가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