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21세기 예배론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추구하며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김순환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3-02-25
규격 신국판 | 254쪽
ISBN 89-511-0561-X 93230
정가 10,000원
판매가 9,0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새로운 세기, 예배도 새로운 변화를 모색해야 할까?
지금까지 대부분의 한국 교회는 설교 중심의 틀에 찬송과 기도가 곁들여진 간결한 예배를 드려왔다. 그러나 최근 일부 교회들을 중심으로 급변하는 사회와 현대인들의 욕구 변화에 따라 기존의 예배 틀을 벗어나 다양한 형식과 내용의 새로운 예배를 드리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 현재 한국 교회에 상당한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열린 예배’ 역시 현대적 삶의 양태에 대해 교회가 무조건 전통만을 고집할 수 없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다. 반면 새로운 형식의 예배에 우려를 표하며 예배의 전통과 가치를 더욱 확고히 하려는 움직임도 확산되고 있다.
‘21세기 예배학’은 이러한 현 상황을 반영, 현대 교회의 예배 경향을 살펴보고 그 맥락 속에서 전통과 시대적 요구가 조화를 이루는 바람직한 21세기형 예배의 방향을 모색한다.
특히 저자는 이 책에서 한국 교회의 예배의 장단점을 정확히 진단한 뒤 21세기 한국 교회의 예배 개혁 방안을 모색한다. 저자는 그동안 한국 교회의 예배가 교육적 목적에 충실하면서도 경험적이고 매우 동적인 모습을 보여 왔지만, 한편으로는 예배의 상징적·예언적 영역들을 지나치게 배제하고 너무 지적인 예배로 편향했다고 지적한다. 따라서 저자는 한국 교회의 예배가 올바르게 개혁되기 위해서는 전통 속에 묻혀있는 성례전적 영성이 보완돼야 함과 동시에 첨단 기계과학 및 정보화 시대 문화의 빠른 확산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변화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이 책은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적응이라는 두 관심사 사이의 긴장을 끊임없이 유지하면서 예배가 목표하는 구속사적 드라마를 실행하는 방안들을 향해 열린 태도를 갖는 것이 21세기 예배 개혁을 위해 꼭 필요한 일임을 명확히 밝히고 있다.




김순환
지은이는 충남대학교에서 행정학을, 서울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전공한 후 졸업과 함께 가족과 더불어 도미, 아펜젤러 선교사의 모교인 미 드루대학교에서 신학석사, 철학석사, 철학박사(예배학)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대전의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서울의 한국성서대학교 등에서 약 10년간 교수로 봉직하였고, 현재는 모교인 서울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후학들을 가르치고 있다. 대외 학술 활동으로는 한국예배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현재는 한국복음주의 실천신학회 회장으로 섬기고 있다. 저서와 역서로는『21세기 예배론』(대한기독교서회, 2003), 『성찬, 어떻게 알고 실행할 것인가?』(로렌스 훌 스투키/대한기독교서회, 2002),『예배의 역사와 전통』(고든웨익필드/CLC, 2007),『예배와 예식 모범』(찰스 해킷·던 샐리어스/대한기독교서회, 2008)이 있으며, 그 밖에『복음주의 실천신학개론』(공저, 세복, 1999), 『복음주의 예배학』(공저, 요단, 2001), 『21세기 실천신학개론』(공저, CLC, 2006) 등 다수가 있다.




제1부 현대 교회 예배의 전통 회복의 필요와 그 가치
1장 현대 교회 예배와 전통 회복의 경향
1 현대 교회 예배와 개혁적 경향
2 예배 개혁의 방향과 특징
2장 예배 전통의 중심적 유산으로서의 성례전 이해
1. 성례전의 뜻
2. 개신교 성례전의 확립
3. 성례전의 유효성과 기능
4. 성례전의 중요성과 역할
5. 개신교 성례전: 세례와 성찬
3장 말씀과 성례전의 균형과 현대 교회 예배의 재정립
1. 역사 속에서의 말씀과 성찬 예배
2. 말씀과 성찬의 균형적 상보관계 상실과 그 문제점
3. 오늘의 말씀과 성찬 예배를 위한 제언
4장 현대 교회 예배의 지향적 정서: 죽음의 개념인가? 부활의 경축인가
1. 성찬에서 구현되는 하나님 나라
2. 성찬에 깃든 두 가지 정서의 실제

제2부 현대 교회 예배에서 동시대적 적응의 필요와 그 가치
5장 사회문화적 변화에 적응하여야 하는 예배
1. 문화와 삶
2. 오늘의 주요 문화적 현상들
3. 예배와 문화의 만남
6장 첨단 기술 정보화 시대와 예배의 진로
1. 사이버 세상과 미래
2. 사이버 세상과 그늘
3. 사이버 시대의 예배의 진로
7장 미래 사회의 주체인 젊은이들을 위한 예배 모색

제3부 21세기 한국 교회 예배의 나아갈 길
8장 한국 교회를 위한 예배신학적 재고와 방향
1. 오늘의 예배의 신학과 경향
2. 성서와 전통 속의 예배
3. 한국 교회의 예배 의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4. 한국 교회의 예배 의식에 대한 대안적 모색
9장 한국 교회 예배의 내일을 위한 성찬신학적 진단과 대안
1. 세계 교회와 한국 교회 예배의 현주소
2. 성찬의 4중 행위와 예배의 본질
3. 실제적 적용의 방법과 그 지향
10장 한국 교회 예배의 내일을 위한 모럴과 그 실제
1. 한국 교회 예배에서의 삶의 소외
2. 예배와 삶과의 연계성 고찰
3. 예배와 생활의 연계를 위한 실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