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거룩한 상징

예전 가구의 신학적인 이해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정재영·조성돈·이범성·김용성·박종환·이승진·정시춘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9-09-05
규격 신국판 양장 | 288쪽
ISBN 978-89-511-1176-1 93230
정가 15,000원
판매가 13,5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한국교회의 기적 같은 성장 속에서 교회 건축과 성구 제작 등이 함께 활발해져왔다. 그런데 교회성장의 흐름 속에서 교회건축, 성구 제작 및 배치, 교회 안과 밖의 상징들이 ‘거룩성’과 ‘경건성’의 차원에서 놓치고 있는 것들이 있다는 비판이 등장했다. 흔히 문화사역이라는 이름으로 ‘세속화’되어가고 있다는 비판이나 영원과 만나고 호흡하는 통로로서의 기호인 ‘도상기호’(iconic sign)를 잃어가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 책은 한국기독교뿐 아니라 세계기독교 어디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연구서이다. 성구의 실천신학적 의미를 담고 있으며, 교회건축의 새 지평을 열어갈 것이고, 성구 제작의 새로운 철학을 세워갈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한국교회의 ‘도상기호’(iconic sign)와 신앙인들의 경건성을 재구성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재영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종교사회학)
연세대학교 대학원
연세대학교(사회학, Ph. D)

『현대한국사회와 기독교』(공저),『그들은 왜 가톨릭 교회로 갔을까』(공저),『시민사회속의 기독교회』(공저),『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공저),『소그룹의 사회학』(공저)

조성돈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목회신학)
독일 킬대학교 신학석사
독일 마르부르크대학교(Dr. theol.)

『목회사회학: 현대사회 속의 기독교회와 생활신앙』,『그들은 왜 가톨릭 교회로 갔을까』(공저),『시민사회속의 기독교회』(공저),『그들의 자살 그리고 우리』(공저),『소비문화시대의 기독교』(공저),『공공신학 한국교회 사회적 책임으로의 초대

이범성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선교학)
장로회신학대학원(Th. B.) 및 신대원(M. Div.)
독일 하이델베르크대학교(Dr. theol.)

『21세기 한국교회 에큐메니칼 운동』(공저) 외

김용성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교회신학)
감리교신학대학교 및 동대학원(Th. B./Th. M.)
독일 보쿰대학교(Dr. theol.)

『신정론: 악에 직면한 하나님의 전능성』(한들출판사, 2009),『아케다해석과 철학적 신존의 문제』(한국해석학회)

박종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전임강사(예배학)
연세대 철학과
장로회신학대학원(M. Div.)
미국 프린스턴신학교(조직신학, Th. M.)
미국 에모리대학(예배학, Th. M.)
미국 Granduate Theologyal Union(예전학, Ph.D., cand.)

이승진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조교수(설교학)
합동신학대학원(M. Div.)
Stellenbosch University(Th. M. &Th. D)

『설교를 위한 성경해석』(CLC), 『설교학 사전, 구약의 내러티브 설교』(역서, CLC)

정시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교회건축)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건축공학, Ph. D.)
정주건축연구소 대표

『교회 건축의 이해』(도서출판 발언, 2009)




머리말
필자 소개

제1장 예전 가구의 신학적인 이해 (박종화, 이승진)
제2장 성구에 대한 의식 조사(정재영)
제3장 현대인의 종교성과 성구(조성돈)
제4장 성례와 성구의 역사(이범성)
제5장 성만찬 신학과 성구(김용성)
제6장 거룩한 사물, 행위, 그리고 예배(박종환)
제7장 설교신학과 설교환경의 상관관계(이승진)
제8장 예배에서 예전 가구가 회중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디자인(정시춘)
제9장 좌담- 한국교회 예전 가구의 현재와 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