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웨슬리는 경제의 3대 원리, “열심히 벌어라!”, “할 수 있는 대로 많이 저축하라!”, “할 수 있는 대로 많이 주어라!”를 강조하였다. 통일 시대에 자본주의의 문제점(평등에 대한 무관심)과 사회주의의 문제점(자유에 대한 무관심)을 극복하는 제3의 대안 경제를 웨슬리를 통해서 배울 수 있다.
김홍기
감리교신학대학, 연세대 연합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Warburg Theological Seminary(S. T. M.)을 거쳐 Boston University에서 신학박사(Ph. D.)를, 드류대학교에서 철학석사(M. Ph.l) 및 철학박사(M. Ph. D.) 학위를 취득하였다. 형제교회담임, 보스턴 한인연합감리교회 담임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 역사신학 교수, 존 웨슬리 신학연구소장, 한국웨슬리학회 부회장, 한국교회사연구원 부원장으로 있다. 저서로는 『존 웨슬리 신학의 재발견』, 『존 웨슬리의 구원론』, 『구원의 완성을 향한 순례』, 『존 웨슬리 신학의 역사적 조명』(공저), 『역사, 신학, 선교』(편저), 『역사 속의 신학』(공역), 『감리교회 형성사』(감수) 등이 있다.
제1장 희년사상의 역사신학적 근거
A. 마르틴 루터와 존 칼빈의 배경에서 본 희년사상
B. 존 웨슬리 희년사상의 신학적 근거
제2장 존 웨슬리의 인간론과 경제 윤리
A. 창조
B. 타락
C. 구원
D. 구원과 경제적 청지기 의식
제3장 존 웨슬리의 희년운동
A. 사회봉사적 희년운동
B. 사회변혁적 희년운동
제4장 존 웨슬리의 희년 경제윤리 Ⅰ: 복음적 경제윤리
A. 청지기 경제윤리
B. 돈 사랑의 위험
C. 하늘나라의 저축
D. 재산상속의 반대
제5장 존 웨슬리의 희년 경제윤리 Ⅱ: 제3의 대안적 경제윤리
A. 시장경제의 부당성
B. 돈 사용의 3대 원리
C. 경제악의 치유
D. 고용체제의 개혁
E. 세금제도의 개혁
F. 희년의 목표: 그리스도를 본받는 사회
제6장 한국의 희년 경제운동과 한국 교회의 갱신
A. 통일선교운동: 선교운동으로서의 통일운동
B. 독일교회 통일운동에서 배워야 하는 한국 교회
C. 희년 경제운동을 위한 한국 교회의 갱신
나오는 말
참고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