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파울 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원시교단부터 종교개혁 직후까지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5-09-10
규격 신국판 | 450쪽
ISBN 89-511-0639-X 93230
정가 16,000원
판매가 14,4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이 책은 파울 틸리히가 1953년 봄학기에 유니온신학교에서 행한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라는 주제의 강의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또한 이 책은 또 다른 강의인 『19-20세기 프로테스탄트 사상사』와 함께 한 체계를 이루고 있다. 파울 틸리히의 ‘사상사’는 단순한 사상의 전개가 아니고 역사적인 전망이며, 단순한 사상의 나열이 아니라 역사적 해석이다. 그래서 그의 사상사에 대한 강의는 ‘정신사에 대한 의미해석’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 책은 분명히 하나의 사상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틸리히의 사상이 제대로 드러난 장이기도 하다. 말하자면 사상의 역사를 통한 그의 사상의 또 하나의 표출이다. 그래서 이 책을 읽어가노라면 과거 사상의 유산에 관심을 쏟기보다는 오늘과의 의미관련에서 ‘어제’를 새롭게 평가해야겠다는 유혹을 강하게 받게 된다.




파울 틸리히

학자. 1886년 출생, 1965년 사망.
베를린, 튀빙겐대학 등에서 공부하고, 제1차 세계대전 때 종군 목사로 나갔다. 베를린대학 강사를 거쳐, 마르부르크와 라이프치히대학 등에서 교수로 있었다. 종교적 사회주의의 이론적 지도자로서 운동을 벌이다가 히틀러에 의하여 쫓겨났다. 1933년 미국으로 망명하여 뉴욕의 유니언신학대학 등에서 교수를 지냈다. 그는 켈러와 셸링의 영향을 받아 실존주의적 요소가 짙은 독특한 존재론적 신학을 전개하였는데, 신학과 철학을 묻고 답하는 관계로 이해하여, 물음에 대한 대답을 크리스트교의 여러 상징에서 찾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저서로는『교의학 개론』(대한기독교서회),『조직 신학』, 『존재에 대한 용기』, 『새로운 존재』(대한기독교서회), 『문화의 신학』(대한기독교서회), 『영원한 지금』(대한기독교서회), 『흔들리는 터전』(대한기독교서회), 『새존재』(대한기독교서회) 등이 있다.




머리말: 도그마의 개념

제1장 그리스도교 신학의 예비
1. 카이로스
2. 로마 제국의 세계 지배에 따른 보편적 상황
3.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철학
4. 헬레니즘 시대의 유대교-성서 중간 시대
5. 신비주의와 밀의종교
6. 사도 교부

제2장 학문으로서의 신학의 시작
1. 변증론자들
2. 영지주의의 위험과 반영지주의 교부들에 의한 극복
3. 반영지주의적 교부들의 내놓은 새로운 교설
4. 알렉산드리아학파
5. 로고스 그리스도론에 대한 반동
6. 삼위일체론을 둘러싼 논쟁
7. 그리스도론의 논쟁
8. 거짓 디오니시우스 아레오파기타

제3장 서방의 그리스도교적 사고의 발전
1. 테르툴리아누스와 키프리아누스
2. 아우구스티누스

제4장 중세교회
1. 신학의 기본 자세
2. 스콜라주의
3. 중세종교의 여러 힘
4. 중세교회의 위치
5. 중세의 성례전론
6. 11-12세기 중세신학의 주요 대표자들
7. 13세기

제5장 트리엔트회의로부터 현재까지의 로마 가톨리시즘의 발전
1. 트리엔트회의
2. 트리엔트 이후의 가톨릭 교회의 발전

제6장 종교 개혁자들의 신학
1. 마르틴 루터
2. 훌드리히 츠빙글리
3. 존 칼빈

제7장 종교개혁 이후의 프로테스탄트 신학의 발전
1. 정통주의 신학
2. 경건주의
3. 합리주의와 경건주의의 관계
4. 소지니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