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의 차원에 집중하는 종교의 교리를 집대성하고 체계화하는 신학은 매우 다양한 모습을 지닌다. 고대나 중세에는 종교의 교리를 담당하는 기관에서 일방적으로 신학을 정립하여 선포하였고, 모든 교리를 정통과 이단으로 나누어 놓음으로써 다양한 주장들이 전개될 여지가 적었다. 그러나 종교적 독재에서 해방된 이성이 학문적 자유를 구가하는, 다원주의가 시대의 정신인 현대에 와서는 자유주의 신학이 범람함에 따라 다양한 이론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 상황은 복잡성과 다양성을 특징으로 하는 세계의 현상으로 고려할 때 자연스런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모자이크와 같은 현대신학의 다양성을 묘사한다. 저자는 다양한 현대의 신학에 대해 정확하고 진지하게 서술하여 각 신학의 진면목을 드러낸다. 이 책은 특정한 패턴에 따라서 내용이 전개된다. 저자는 열네 가지의 현대신학의 흐름-근본주의, 복음주의, 오순절운동, 신정통주의, 신자유주의, 과정신학, 성공신학, 희망의 신학, 해방신학, 여성신학, 현대 카톨릭 신학, 동방정교회 신학, 뉴에이지 운동, 창조영성-을 다루고 있는데, 먼저 각 신학의 성격과 역사적 배경을 검토한다. 다음으로 그 신학을 선도한 신학자들의 생애와 사상을 조사하고, 그들이 내세우는 교리를 기술하여 각 신학에 대해 심도 있는 접근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어 결론 부분에서는 저자의 입장에서 각 신학사상의 공헌과 문제점을 지적하고, 마지막 부분에는 토의문제를 제시한다. 이 같은 패턴은 독자들로 하여금 각 신학에 대하여 깊이 있는 성찰과 논의를 갖게 할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는, 하나의 조직체계를 이루고 있는 가톨릭이나 동방교회에도 다른 목소리를 내는 이들이 있는 현실을 바라보면서 그것이 이 시대의 풍조라는 것을 인정하며, 현대신학의 넓은 세계를 이해하며 숙고하게 될 것이다.
유진열
성결대(신학)와 고려대(상담심리학)에서 공부하였다. 육군 군목으로 사역하였고 제대 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유학생선교회를 세워 활동하였다. 1991년에 미국으로 건너가 Emory University(M. Div.)와 South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Ph. D. 조직신학 전공)에서 수학하였다. 2001년에 귀국하여 성결대학교 신학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
『21세기 신학의 서곡4』(쿰란출판사, 2003)
『신과 진리를 찾은 인간: 21세기 종교와 철학의 대화』(대한기독교서회, 2007)
『기독교는 참되다』(역서, 쿰란출판사, 2008)
추천사
감사의 글
들어가는 말
서론
1. 신학이란 무엇인가? | 2. 신학의 성격 | 3. 현대신학이란 무엇인가? | 4. 현대신학의 특징 | 5. 현대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 | 6. 현대신학의 과제 | 토의문제
Ⅰ. 성서적 기독교로 회귀하려는 운동
제1장 근본주의
제2장 복음주의
제3장 오순절운동
제4장 신정통주의
Ⅱ. 자유, 이성, 인간, 희망의 깃발 아래
제5장 신자유주의
제6장 과정신학
제7장 성공신학
제8장 희망의 신학
Ⅲ. 소외된 사람들의 외침
제9장 해방신학
제10장 여성신학
Ⅳ. 다른 전통을 가진 교회의 신학
제11장 현대 가톨릭 신학
제12장 동방정교회 신학
Ⅴ. 새로운 절충적 종교사상
제13장 뉴에이지 운동
제14장 창조영성
나가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