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 전통이 갖고 있던 여러 가지 오해 때문에 신학의 전면에 나서지 못했던 성령론을 신학적으로 복원한 몰트만의 명저. 저자는 성령을 모든 피조물을 살게 하는 삶의 영이며 죄와 불의로 가득 찬 이 세계를 변화시킬 힘으로 정의한다.
♣지은이
위르겐 몰트만
독일 조직신학자로 1955년 신학박사학위를 받고 1956년 브레멘대학 강사, 1963년 본대학 조교수를 거쳐 튀빙겐대학에서 가르쳤다. 저서로는『하나님 체험』, 『본회퍼의 사회윤리』, 『신학의 미래』, 『인간』, 『희망의 신학』,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 『예수 그리스도의 길』, 『생명의 영』,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등이 있다.
♣옮긴이
김균진
한국신학대학, 연세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튀빙겐 신학부(신학박사)에서 수학했다. 현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저서로는 『기독교조직신학1, 2, 3, 4, 5』, 『헤겔철학과 현대신학』(1979), 『헤겔과 바르트』(1983), 『하나님은 어디에 계신가』(1990), 『생태계의 위기와 신학』(1991), 『종말론』(1998), 『죽음의 신학』(2002), 『20세기 신학사상1』(2003) 등이 있다. 역서로는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1979), 『삼위일체와 하나님 나라』(1982). 『창조 안에 계시는 하나님』(1986), 『하나님은 어디에 계신가』(1990), 『예수 그리스도의 길』(1990), 『생명의 영』(1992). 『오시는 하나님』(1997). 『신학의 방법과 형식』(2001), 『과학과 지혜』(2003) 등이 있다.
입문: 오늘날 성령론의 출발점
1. 성령의 사귐의 에큐메니칼적이며 오순절적 초대
2. 신적 계시와 성령의 인간적 경험의 잘못된 양자택일의 극복
3. 하나님의 영의 우주적 차원의 발견
4. 성령의 인격성의 문제
제1부 성령의 경험들
Ⅰ. 삶의 경험-하나님의 경험
Ⅱ. 성령의 역사적 경험
Ⅲ. 삼위일체적 영의 경험
제2부 성령 가운데서의 삶
Ⅳ. 삶의 영
Ⅴ. 삶에의 해방
Ⅵ. 삶의 칭의
Ⅶ. 삶으로 다시 태어남
Ⅷ. 삶의 성화
Ⅸ. 삶의 카리스마적 힘들
Ⅹ. 신비적 경험의 신학
제3부 성령의 사귐과 인격
XI. 성령의 사귐
XII. 성령의 인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