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신학의 생명화 신학의 영성화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이정배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1999-03-31
규격 신국판 | 288쪽
ISBN 89-511-0301-3 93230
정가 10,000원
판매가 9,0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생명신학의 권위자 이정배 교수가 생명신학의 신학적 이론 정립을 위해 쓴 논문집. ‘통합학문으로서의 생명 신학’을 위해 기획된 이 책은 『하느님 영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성령의 시대, 생명신학』의 후속편이다. ‘생명과 영’의 모티프를 신학적으로 좀더 체계화시킨 논문들이 실려 있다.




이정배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스위스 바젤대학교 신학부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1986년부터 모교에서 종교철학과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교회환경연구소와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 소장직을 맡아 일하고 있다. 저서로는 『토착화와 생명문화』(1991), 『현대 이후주의와 기독교』(1992), 『한국적 생명신학』(1996), 『하느님 영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1998) 등이 있고, 역서로는 『자연, 그 동서양적 의미』(L. Rouner, 1998), 『과학시대의 신론』(J. Polkinghorn, 1998), 『신과 자연, 기독교와 과학, 그 만남의 역사 Ⅰ, Ⅱ』(L. Lindberg, 1998, 1999) 등이 있다.




1. 역사와 자연을 넘어 생명으로
Ⅰ.기독교 자연 이해의 문제사적 출처
Ⅱ. 성서에 나타난 창조 진술의 생태학적 의미
Ⅲ. 구약성서 창조 기사 속의 인간, 자연 그리고 생명
Ⅳ. 신약성서 창조 본문 속의 인가, 자연 그리고 생명

2. 생태학적 신학과 한국신학의 과제
Ⅰ. 「기독교사상」과 생태학적 신학-논의의 주제와 범주들
Ⅱ. 「신학사상」 속의 생태신학적 주제들
Ⅲ. 생태학적 신학에 대한 한국신학계의 논쟁점들
Ⅳ. 한국적 생명신학의 과제와 방향

3. 유교적 자연관과 생태학적 신학
Ⅰ. 유교와 기독교의 자연인식-근원전통의 문제점
Ⅱ. 역전의 유기체적 자연관과 기독교 신학의 모형변이: 생태학적 신학
Ⅲ. 이기우주론과 범재신론적 자연신학
Ⅳ. 기일원론적 세계관과 탈형이상학적, 생태학적 성령론
Ⅴ. 기와 영의 간주체적 만남을 위하여

4. 생명역사적 진화와 인간의 미래
Ⅰ. 진화론과 종교
Ⅱ. 세계에 대한 총괄적 비전-생명역사적 진화론
Ⅲ. 진화의 서사시와 성서적 세계관
Ⅳ. 포괄적 진화론과 인류의 미래

5. 신과학 사조와 기독교적 영성
Ⅰ. 자연이해(세계관)와 신학의 상호관계-신과학 사조의 출현의미
Ⅱ. 『신과학과 영성의 시대』에 제기된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Ⅲ. 『자연적 은총』과 신학의 재구성
Ⅳ. 신과학 사조와 기독교(신학)의 영성

6. 생명과 영성
Ⅰ. 생명공학의 발생 배경과 우려
Ⅱ. 생명조작의 문제-양의 복제 ‘돌리’ 사건을 보며
Ⅲ. 생명공학에 대한 메타 비판-과학에 의한 과학의 문제제기
Ⅳ. 생명공학에 대한 신학적 평가-‘영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7. 몸과 영성-신토불이적 인간이해
Ⅰ. 풍토와 인간 존재 구조의 관계
Ⅱ. 신토불이적 인간 이해와 민족의학
Ⅲ. 신토불이적 인간 이해의 신학적 의미-기독교적 인간 이해의 모형 변이를 위하여

8. 우주신인론적 영성
Ⅰ. 땅(세계)의 혼
Ⅱ. 존재의 시간으로서 생명
Ⅲ. 인격적인 관계성들
Ⅳ. 생명과 언어
Ⅴ. 새로운 우주론을 향하여
Ⅵ. 우주신인론적 영성을 향하여

9. 문화비평과 성령의 신학
Ⅰ. 3000년 시대의 문화
Ⅱ. 그때의 문화비평-예수와 바울을 중심으로
Ⅲ. 오늘의 문화비평-탈문화의 의미와 중요성
Ⅳ. 탈문화와 하느님 영

10. 창조의 영성과 예수의 영
Ⅰ. 하느님 계약 속의 생명원리
Ⅱ. 인습적 지혜와 예수의 영
Ⅲ. 자연가치의 재발견
Ⅳ. 창조의 영성과 생명본능

11. 하느님 은총, 그 새로운 발견
Ⅰ. 하느님 은총의 두 빛깔-녹색과 붉은색
Ⅱ. 녹색은총의 의미
Ⅲ. 적색은총의 새로운 발견
Ⅳ. 녹색은총과 적색은총의 하나 됨을 향하여
12. 한국적 생명신학의 새로운 메타포
Ⅰ. 신학함에 있어서 주체성 물음과 IMF 상황
Ⅱ. 후기 산업사회의 생산양식과 민족 주체성의 문제
Ⅲ. 환경부도와 생명신학의 요청
Ⅳ. 절뚝거리는 야곱-생명신학을 위한 메타포

신학적 보론: 20세기 오이디푸스의 슬픔과 『생명권 정치학』
Ⅰ. 오이디푸스의 후예
Ⅱ. 제레미 리프킨의 『생명권 정치학』과 오늘의 세계
Ⅲ. 비극의 계보학, 그러나 희망의 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