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절망적인 상황을 외면하지 않고 늘 책임있는 자세로 자신의 신학을 펼쳐 온 몰트만이 종말론적 입장에서 저술한 생명신학 이야기. 그에 따르면 그리스도인에게 주어진 가장 절박한 과제는 생명을 살리고 생명의 가치를 높이는 일이다.
♣지은이
위르겐 몰트만
독일 조직신학자로 1955년 신학박사학위를 받고 1956년 브레멘대학 강사, 1963년 본대학 조교수를 거쳐 튀빙겐대학에서 가르쳤다. 저서로는『하나님 체험』, 『본회퍼의 사회윤리』, 『신학의 미래』, 『인간』, 『희망의 신학』,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 『예수 그리스도의 길』, 『생명의 영』,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등이 있다.
♣옮긴이
이신건
서울신학대학(신학과)과 연세연합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박사학위(Dr. theol.)를 받았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성결신학연구소(sgti.kehc.org)를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은 『칼 바르트의 교회론』, 『조직신학입문』, 『하나님 나라의 지평 위에 있는 신학과 교회』, 『어린이 신학』 등이 있고, 옮긴 책은 『교의학』, 『칼 바르트의 정치신학』, 『고대교회와 동방교회』, 『희망의 신학』 등이 있다.
Ⅰ. 하나님과의 씨름
1. 불행으로 가는 길
2. 은혜로운 전환
3. 노튼 캠프의 복
4. 다리는 절뚝거렸지만 복이었다
Ⅱ. 성령과 생명 신학
1. 하나님의 영의 임재에 대한 성서적 전망
2. 오늘날의 성령의 선교
Ⅲ. 산 희망으로 거듭남
1. 새로운 생명은 영 안에서 시작된다
2. 중생에 관한 성서의 묘사
3. 우리의 생명이 누리는 부활의 기쁨
4. 신앙 안에 머물고 성장함
5. 성령은 우리의 신적인 어머니인가?
Ⅳ. 희망에 관한 묵상
Ⅴ. 생명의 성화
1. 무엇이 거룩한가?
2. 하나님에 의한 성화
3. 생명의 거룩함
4. 건강하게 사는 것 - 행복해지는 것
5. 성령의 감화 안에서
6. 성령은 살리는 생명이다
Ⅵ. 카리스마적 생명력
1. 카리스마적 공동체의 생동성
2. 방언
3. 새로운 생명력을 되살림
4. 카리스마적 병자 치유
5. 장애를 지닌 생명의 카리스마
6. 성령은 에너지의 샘과 신적인 힘의 장이다
Ⅶ. 생명의 새 영성
1. 영성인가 아니면 활력인가?
2. 영과 육의 갈등
3. 영혼의 영성
4. 새로운 영성: 죽음에 맞서는 생명
5. 새로운 생활 방식
6. 새로운 감성
7. 하나님을 사랑할 때. 나는 무엇을 사랑하는가?
Ⅷ. 성령의 사귐 안에서
1. 하나님과의 사귐?
2. 성령의 사귐 안에 있는 교회
3. 세대 간과 성 간의 사귐
Ⅸ. 모든 사람이 넉넉하다
Ⅹ. 주님은 땅의 얼굴을 새롭게 하십니다
1. 깊은 곳에서 나오는 외침
2. 창조의 생명
3. 창조의 보존
4. 하나님의 영에 의한 창조의 거듭남
XI. 기도할 때. 우리는 무엇을 하는가?
1. 기도 중의 몸 언어
2. 깨어 있음과 기도함
3. 소원 - 의지 - 기도
4. 기도 응답이 없이 산다는 것은 깨어 있음을 뜻한다
5. 중보 기도의 그물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