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착화 2세대 신학자인 이정배 교수가 꺼져가는 토착화신학의 불씨를 다시 살리고, 토착화신학이 교회와 무관한 신학이 아닌 생명적·한국적 신학임을 밝히고자 저술한 신학 연구서. 이 책은 토착화신학의 역사적 맥락과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의 한국적 생명신학을 다루고 있다.
이정배
감리교신학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스위스 바젤대학교에서 조직신학으로 박사학위(Dr. theol)를 받았다. 현재 감리교신학대학교에 재직 중이며 감신대 대학부설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 소장, 교육환경연구소 소장, YMCA 환경위원회 위원장, 한국조직신학회 총무, 한국문화신학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토착화와 생명문화』, 『현대자유주의 신학사조』, 『현대이후주의와 기독교』, 『하느님 영은 불고 싶은 대로 분다』, 『신학의 생명화, 신학의 영성화』, 『해석의 힘, 차이의 축제』 등이 있다.
책을 엮으며
제1장 한국적 주체성의 발견과 토착화 신학의 여명
· 묵시문학적 자의식과 탈오리엔탈리즘의 신학자 이용도
· 이용도의 영적 기독교와 김교신의 조선적 기독교에 나타난 한국적 주체성
· 다석 유영모의 동양적 기독교 이해
제2장 종교간 대화와 해석학적 토착화 신학의 전개
· 윤성범의 유교적 신학
· 변선환의 불교적 타종교의 신학
· 유동식의 풍류적 영성과 우주적 그리스도
제3장 토착화를 넘어서는 창조론-한국적 상상력의 신학
· 한글의 세계관과 유영모의 한글신학
· 이신의 초현실주의 해석과 예술신학
· 김지하의 율려사상에 대한 종교신학적 고찰
제4장 한국적 생명신학으로서의 토착화 재론
· 퇴계의 경사상과 창조영성
· 성리학의 인물성동이론과 형태공영론
· 동학적 세계관과 수행론의 기독교적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