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기독교서회
 

단군신화와 기독교

단군신화의 문화사적 해석과 천지인 신학사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저자 허호익
출판사 대한기독교서회
발행일 2003-11-25
규격 신국판 | 384쪽
ISBN 89-511-0629-2 93230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10%할인 + 5%적립)
도서상태 구매가능

선택된 옵션

  • 주문수량

  • 책소개
  • 저자
  • 차례
  • 책 속으로

2~3년 전부터 불거지기 시작한 단군상 문제가 여전히 한국 교회의 ‘뜨거운 감자’로 남아 있다. 이는 한국 교회가 아직까지 단군신화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정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편에서는 단군신화를 반기독교적인 것으로 규정하는 것은 무리라고 주장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단군신화를 철저히 배격하며 이미 건립된 단군상을 철거하는 일까지 서슴지 않고 있다. 이 속에서 상당수의 기독교인들은 막연한 느낌만 갖고 있을 뿐 무엇 때문에 단군신화가 왜 문제가 되는지 혹은 문제가 되지 않는지, 단군신화를 어떻게 바라보고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에 대해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이 책은 단군신화에 관한 종합적이고 전향적인 이해를 시도하는 책이다. 이에 따라 단군신화가 전승 초기에 무엇을 의미했으며, 왜 단군신화가 형성됐는지, 그리고 오늘날까지 어떻게 전승되어 왔으며 오늘날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를 학문적으로, 신학적으로 검토한다. 무조건 찬성하거나 비판하기에 앞서 단군신화의 실체를 먼저 파악해보자는 것이다. 그래서 다양한 문헌 검토를 통해 단군신화를 철저히 해부하고 있다.
이 책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단군신화에서 기독교에 접목시킬 수 있는 사상을 발견해 낸 점이다. 저자는 단군신화의 삼재론-수직적 대신관계, 수평적 대인관계, 순환적 대물관계-이 서구 중심의 인류 문명이 안고 있는 심각한 현안들의 대안적 사상이 될 수 있으며 이는 신과 인간, 마음과 몸, 사람과 사람 사이의 바른 관계를 지향하는 기독교의 ‘천지인 신학’과 만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단군신화의 삼재론과 기독교적인 천지인 신학의 역설적인 만남은 서구신학에 매달려있는 한국신학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단군신화를 막연하게 느꼈던 사람들이 단군신화를 ‘제대로’ 이해하도록 도와줄 뿐만 아니라 단군신화가 한국 교회에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줄 것이다.




허호익
연세대학교 신학과와 동 대학 연합신학대학원,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전신학대학교 교수이자 한국교회언론회 학술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성서의 앞선 생각』, 『그리스도의 삼직무론』, 『현대조직신학의 이해』 『예수 그리스도 바로 보기』 등이 있다.




제1장 한국문화의 고유성과 구성원리의 모색
1. 동서 문화 차이와 한국문화의 고유성
2. 한국문화의 구성원리로서 천지인 조화론

제2장 단군신화의 인물소(人物素)에 대한 삼신론적 이해
1. 단군신화의 인물소의 옛뜻에 대한 삼신론적 해석
2. 환인의 옛뜻: 천부신(天父神) 하나님
3. 환웅의 옛뜻: 천자신(天子神) 하느님 아들
4. 웅녀의 옛뜻: 지모신(地母神) 신
5. 단군 왕검의 옛뜻: 시조신(始祖神) 한배검
6. 단군신화의 심층구조인 천지인 조화론과 그 형성 배경

제3장 단군신화의 천지인 조화론의 문화전승사적 이해
1. 한국 고대종교의 삼신신앙과 천지인 조화론
2. 삼국시대의 건국신화의 천지인 조화론적 구조
3. 삼국시대의 삼신제사와 천지인 조화론
4. 삼국시대의 삼신신앙과 천지인 조화론
5. 삼국시대의 삼족오 및 삼태극 문양과 천지인 조화론
6. 고려의 팔관회와 천지인 조화론
7. 조선왕조의 천지인 조화론의 기승
8. 근대한국종교의 천지인 조화론 전승
9. 한국 전통문화와 예술 및 생활 속에 스며든 천지인 조화론
10. 현존하는 단군문화 유적
11. 천지인 조화론의 현대적 재해석

제4장 단군신화의 종교적 정치적 왜곡과 그 비판
1. 남한의 단군상 건립기의 종교적 왜곡과 그 비판
2. 북한 단군릉 건립의 정치적 왜곡과 그 비판

제5장 단군신화에 대한 기독교 신학적 이해
1. 단군신화와 기독교의 만남: 환인 하나님과 여호와 엘로힘 하나님
2. 김인서의 단군신화의 하나님 신앙 이해
3. 윤성범의 단군신화의 삼위일체론적 해석과 효의 신학
4. 김광식의 단군신화의 사람됨의 존재론적 해석
5. 박종천의 단군신화의 상생신학적 해석과 웅녀의 신학
6. 유동식의 단군신화의 삼태극적 해석과 풍류신학

제6장 천지인 신학의 가능성 모색
1. 한국신학의 해석학적 원리와 방법의 재검토
2. 창조의 천지인 신학적 해석
3. 타락과 원죄의 천지인 신학적 해석
4. 시내 산 계약의 천지인 신학적 해석
5. 계약공동체의 세 가지 상징과 종교·정치·경제적 이상
6. 예언자들의 천지인 신앙
7. 주기도문과 팔복의 천지인신학적 해석
8. 개인·사회·생태 구원의 통전적 구원론과 천지인의 신학
9. 그리스도의 신성·인성·우주성의 삼성론과 천지인 신학
10. 천지인 신학의 남은 과제

제7장 단군 관련 자료
1. 단군 관련 고서 자료
2. 조선조 이후 단군신화 관련 사건 일지
3. 단군상 관련 주요 성명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