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삼위일체론적 신학의 완성-성령론 고대교회로부터 현대에 이르는 동안 신학의 패러다임은 많은 변화를 거쳐왔지만, 성령론은 신학의 역사 속에서 오랫동안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이후, 오늘날을 ‘성령론의 르네상스’라 부를 만큼 성령론에 대한 관심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성령론이 시대적 관심의 대상이 된 것은 교회는 물론 신학 영역에서 성령 중심의 패러다임이 가지는 가능성이 재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성령 중심의 신학은 다원화된 사회 속에서 수평적 사고를 가능케 하고, 기독교 신학이 지성화 되는 것에 저항하며, 인간으로 하여금 생명의 문제에 관심을 갖게 하는 등 오늘날 신학담론에 실천적이고 기능적인 작용을 한다. 이 책은 기독교 신학사에서 성령론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약, 신약에 나타난 성령 이해는 물론 초대교회와 초대교부들이 갖고 있던 영의 개념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뿐만 아니라 아우구스티누스, 칼빈, 웨슬리 등 신학자들의 성령 이해를 소개하므로 역사적 성령론의 폭넓은 이해를 돕는다. 마지막으로 현대 신학의 주요 인물인 바르트, 틸리히 등의 성령론과 생태신학, 여성신학 등 현재 주목받는 신학 분야의 성령 이해를 수록하여, 앞으로 성령 중심의 신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저자는 이 책에서 성령 중심의 신학은 균형 잡힌 삼위일체론적 신학을 전개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며, 구원 사건의 완성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더불어 신학 패러다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해야 할 성령론이 그동안 하나님 중심의 신학이나 그리스도 중심의 신학에 비해 교리적으로 충분히 발전하지 못했음을 지적한다. 『성령과 기독교 신학』은 오늘날 신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성령론을 역사적, 체계적, 종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한국 신학계에서 각 분야를 대표하는 20인의 신학자가 공동으로 집필하였다. 성서로부터 시작하여 기독교 역사 속에서, 그리고 오늘에 이르기까지 성령론에 대하여 총제적으로 기술하는 이 책은 신학계는 물론, 현장에서 사역하는 목회자들에게 성령론을 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함과 동시에 성령론에 대한 다면적 해석을 하도록 도와줄 것이다.
황승룡_호남신학대학교 명예교수, 조직신학 강성열_호남신학대학교, 구약학 김철홍_장로회신학대학교, 신약학 송인설_서울장신대학교, 역사신학 현요한_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박종숙_전주중부교회, 한일장신대학교, 교회사 김영도_영남신학대학교, 역사신학 이준섭_호남신학대학교, 역사신학 최윤배_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홍지훈_호남신학대학교, 종교개혁사 박창훈_서울신학대학교, 교회사 김명용_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황민효_호남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김형민_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윤리 신옥수_장로회신학대학교, 조직신학 구춘서_한일장신대학교, 조직신학 오현선_호남신학대학교, 기독교교육학 신재식_호남신학대학교, 조직신학 박만_부산장신대학교, 조직신학 배덕만_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역사신학
머리말 필자소개 제1부 기독교 신학과 성령 1장 기독교 신학과 성령_황승룡 2장 신약신학과 성령_김철홍 3장 구약신학과 성령_강성열 4장 역사신학과 성령_송인설 5장 조직신학과 성령_현요한 제2부 역사 속의 성령 이해 6장 바실리우스의 성령 이해_박종숙 7장 아우구스티누스의 성령 이해_김영도 8장 아퀴나스의 성령 이해_이준섭 9장 칼빈의 성령 이해_홍지훈 11장 웨슬리 성령 이해_박창훈 제3부 현대 신학의 성령 이해 12장 바르트의 성령 이해_김명룡 13장 틸리히의 성령 이해_황민효 14장 판넨베르크의 성령 이해_김형민 15장 몰트만의 성령 이해_신옥수 16장 해방신학의 성령 이해_구춘서 17장 여성신학의 성령 이해_오현선 18장 과정신학의 성령 이해_신재식 19장 생태신학의 성령 이해_박만 20장 오순절신학의 성령 이해_배덕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