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인의 실천적 삶이 매우 절실히 요청되는 21세기의 시대상황 속에서 삼위일체론의 중요성은 더욱 강하게 부각된다. 왜냐하면 삼위일체론은 그리스도인의 삶에 근본적 변화르 가져올 수 있는 실천적 교리이기 때문이다. 이단사설에 대항하여 하나님을 변증하는 과정에서 확립된 삼위일체론은 결코 사변적 교리가 아니라 성부 성자 성령 하나님을 통해 받은 구원의 경험을 기반으로 형성된 기독교 신앙의 핵심이다.
우리는 삼위일체론을 통해 하나님, 인간, 이 세계와 어떠한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우리는 정치 경제 사회적 체제가 어떠한 방향으로 변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정표를 모색하며, 생태계에 대해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신학적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르게 해석된 삼위일체론은 인간과 사회, 자연, 세계에 대한 기독교의 이해와 실천에 있어서 매우 귀중한 통찰을 제시함으로써, 그리스도인의 사고와 행도에 근본적 변화를 촉구할 뿐만 아니라, 이 세계의 새로운 변혁을 가능케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곽미숙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했고, 한세대와 장로회신학대학원에서 신학을 공부했으며, 독일 튀빙엔(Tubingen) 대학에서 위르겐 몰트만(Jurgen Moltmann) 교수의 지도로 조직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성공회대, 숭실대, 장로회신학대 대학원 강사를 역임했으며, 현재 연세대 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저서로는 Das Todesverstandnis der koreanischen Kultur(한국 문화의 죽음 이해)와 『현대세계의 위기와 하나님의 나라』등이 있고, 역서로는 『절망의 끝에 숨어 있는 새로운 시작』과 『세계 속에 있는 하나님』등이 있다.
머리말
제1장 책을 시작하면서
제2장 삼위일체론이 정착되지 못한 신학계의 상황과 그 문제점
제3장 성서에 계시된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
1. 구약성서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
2. 신약성서에 나타난 삼위일체 하나님 신앙
제4장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발전 과정
1. 터툴리아누스의 삼위일체론
2. 오리게네스의 삼위일체론
3. 아타나시우스의 삼위일체론
4. 캅파도키아 세 교부들의 삼위일체론
5. 아우구수티누스의 삼위일체론
6. 아우구스티누스 이후의 삼위일체론
제5장 최근 신학계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재조명
1. 최근의 삼위일체론에 끼친 몰트만의 영향
2. 종전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몰트만의 비판
3.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의 출발점: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사건
4.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의 신비: 페리코레시스
5.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의 지향점: 삼위일체적 하나님의 자유의 나라
6. 몰트만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평가
제6장 실천적 교리로서의 삼위일체론
1. 삼위일체론이 가르쳐 주는 실천적 원리
2. 이상적 사회에 대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삼위일체론
3. 정의롭고 평등한 공동체 형성을 위한 실천적 노력
제7장 책을 마무리하면서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