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현대의 불확실한 상황과 폭력으로부터 고통당하는 사람들을 보며 “하나님은 어디에 있는가?”, “평화와 정의가 넘치는 하나님의 나라가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을 정공법으로 제기한다. 그리하여 교리에 갇혀 있는 그리스도가 아닌 살아 있는 그리스도를 우리 앞에 소개한다.
♣지은이
위르겐 몰트만
독일 조직신학자로 1955년 신학박사학위를 받고 1956년 브레멘대학 강사, 1963년 본대학 조교수를 거쳐 튀빙겐대학에서 가르쳤다. 저서로는『하나님 체험』, 『본회퍼의 사회윤리』, 『신학의 미래』, 『인간』, 『희망의 신학』, 『성령의 능력 안에 있는 교회』,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나라』, 『예수 그리스도의 길』, 『생명의 영』,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등이 있다.
♣옮긴이
이신건
서울신학대학(신학과)과 연세연합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튀빙엔 대학교에서 박사학위(Dr. theol.)를 받았다. 현재 서울신학대학교에서 조직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성결신학연구소(sgti.kehc.org)를 운영하고 있다. 지은 책은 『칼 바르트의 교회론』, 『조직신학입문』, 『하나님 나라의 지평 위에 있는 신학과 교회』, 『어린이 신학』 등이 있고, 옮긴 책은 『교의학』, 『칼 바르트의 정치신학』, 『고대교회와 동방교회』, 『희망의 신학』 등이 있다.
Ⅰ.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하나님의 나라와 예수
‘하나님의 날’: 성서적 전망
신학적 해명
‘먼저 하나님의 나라를…’
Ⅱ. 그리스도의 수난과 하나님의 고통
고난과 하나님을 향한 질문
그리스도의 수난
십자가의 신학
십자가를 뒤따르는 실천
Ⅲ. 그리스도의 불안
불안과 희망
그리스도의 불안
“우리를 불안에서 구하소서”
Ⅳ. 고문당한 그리스도
어떻게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을 고문하게 되는가?
고문당한 그리스도는 고문당한 사람들의 형제이다
부활한 그리스도는 고문하는 사람들의 심판자이다
고문하는 사람들에 대한 저항
Ⅴ. 그리스도의 부활-세계를 위한 희망
부활 신앙의 특징
역사의 전망에서 본 부활
부활의 전망에서 본 역사
자연의 전망에서 본 부활
Ⅵ. 우주적 그리스도
체르노빌 이후의 그리스도
우주적 그리스도와 원시그리스도교의 전승사
상이한 우주적 그리스도론의 기획
그리스도-진화의 동력?
정치적, 영적 귀결
Ⅶ. 유대인과 그리스도인 사이의 예수
1. 메시아적인 것
2. 유대인-그리스도인의 대화 속의 그리스도론
Ⅷ. “보라, 내가 만물을 새롭게 하노라”: 위대한 초대
하나님은 세계를 새롭게 하기 위해 온다: 성서적 전망
하나님의 미래와 그의 정의: 신학적 질문들과 대답들
하나님의 미래의 복음